2차 북·미 정상회담 일정이 확정되면서 남·북·미·중 4자 정상의 한반도 종전선언 논의 가능성이 재점화하고 있다. 성사된다면 장소는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열리는 베트남이 유력하다. 66년째를 맞은 정전체제 종식을 타진할 정상들의 숨 가쁜 평화의 여정도 다시 막을 올리게 됐다.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는 6일 평양을 방문해 2차 북·미 정상회담 합의 도출을 위한 마라톤협상을 진행 중이다. 무엇보다 양측이 종전선언에 합의할 수 있느냐가 최대 관심사다. 비건 대표는 지난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 전쟁(한국전쟁)을 끝낼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혀 종전선언이 논의 테이블에 올랐음을 시사했다.
비건 대표와 카운터파트인 김혁철 전 주스페인대사가 실무 합의에 성공한다면 북·미 양 정상은 북한의 비핵화 로드맵과 종전선언을 포함한 상응조치를 각각 합의문에 담을 전망이다. 또 이를 보증·확인하기 위해 한·중 정상이 베트남으로 갈 수 있다는 시나리오도 거론된다.
벌써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베트남 방문 가능성도 전해지고 있다. 미·중 정상은 추가 관세 부과 유예 마감시한(3월 1일)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이달 말 정상회담에 합의했다. 구체적인 시점과 장소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열리는 27~28일 베트남에서 미·중 정상회담도 함께 개최된다고 보도했다. 여기에 문재인 대통령이 합류한다면 역사상 처음으로 4자 정상이 모이는 것도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다만 북·미 양측 간 종전선언 합의 여부에 대해서는 관측이 엇갈린다. 2차 북·미 정상회담까지 3주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빅딜’을 성사시킬 물리적 시간이 부족할 것이라는 시각도 많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4자 정상의 종전선언은 북·미 간 협상이 어떻게 진행되느냐에 달려 있다”면서도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만약 시 주석의 베트남 방문이 확정된다면 문 대통령도 베트남 방문을 추진할 전망이다. 집권 2년간 한반도 평화의 기틀을 만든 상황에서 정부를 뺀 북·중·미 3자 정상회의가 개최되는 것을 두고 볼 수만은 없기 때문이다.
시 주석은 미·중 정상회담이 잘 마무리된 이후에는 남북을 동시 방문할 예정이다. 6월에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일본에서 열리는데, 역시 북핵 문제가 주요하게 논의될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 김 위원장의 참석 가능성이 거론됐던 유엔총회도 9월에 개최된다. 11월에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일본을 찾는다. 지난해 김 위원장의 초청을 수락한 교황이 일본 방문 즈음에 방북을 결정할 가능성이 있다.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시점은 아직 구체화되지 않았다. 다만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잘 마무리되면 상반기 중에는 서울을 찾을 것이란 관측이 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다시 빨라진 ‘평화 시간표’… 베트남 담판서 ‘종전선언’ 나오나
입력 2019-02-07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