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반도 비핵화 관련 담판을 벌일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오는 27∼28일 이틀 동안 베트남에서 개최된다. 지난해 6월 1차 싱가포르 회담 이후 260일 만에 열리는 2차 회담에서 북·미 정상이 구체적인 비핵화 조치와 미국의 상응조치를 맞교환하는 빅딜에 합의할지 주목된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2차 북·미 정상회담 직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베트남에서 정상회담을 할 것으로 알려져 한국전쟁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체결 등 한반도 정세에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워싱턴 의회 하원회의장에서 국정연설(state of the union)이라는 극적인 무대를 통해 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를 공식 발표했다. 그는 국정연설에서 “담대하고 새로운 외교의 일환으로 우리는 한반도 평화를 위한 역사적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며 “김 위원장과 나는 27일과 28일 베트남에서 다시 만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우리의 인질들은 조국으로 돌아왔고 (북한의) 핵실험은 중단됐으며 미사일 발사는 15개월 동안 없었다”며 “내가 만약 미국 대통령으로 선출되지 않았다면 우리는 지금 북한과 거대한 전쟁을 벌이고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해야 할 많은 일이 남아 있지만 나와 김 위원장은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은 북한의 영변 핵시설을 비롯한 플루토늄·우라늄 농축시설 폐기와 ‘플러스 알파’를 요구하고 있고, 북한은 제재 완화를 원하는 상황에서 두 정상이 합의점을 도출해낼지에 2차 회담의 성패가 달려 있다.
이번 베트남 정상회담은 하루에 그쳤던 1차 회담과 달리 1박2일 동안 열린다. 따라서 북·미 두 정상이 여러 차례 회동할 가능성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개최 도시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으나 경호·보안에 유리한 다낭으로 사실상 확정됐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회담 개최지로 베트남이 정해진 것은 김 위원장의 이동거리와 사회주의 국가에서 성공적인 개혁·개방을 이뤄낸 상징성 등이 고려된 조치로 보인다.
특히 2차 북·미 정상회담은 미·중 정상회담과 맞물리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미국과 홍콩 언론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다낭에서 북·미에 이어 미·중 정상회담을 연쇄적으로 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시 주석도 참여해 다낭에서 ‘남·북·미·중’ 4자 정상회담을 열고 한국전쟁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체결 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베트남 북·미 정상회담이 비핵화를 넘어 한반도 평화체제에 큰 변화를 야기하는 역사적 무대가 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
북·미 核담판 카운트다운… 담대한 ‘평화의 여정’ 시작
입력 2019-02-06 19:04 수정 2019-02-06 2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