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가맹점주와 상생… 지키는 게 이기는 것”

입력 2019-02-07 04:00
편의점 업계가 가맹점주와 상생 강화에 나서고 있다. 가맹점주의 수익 배분율을 높이고 공정거래위원회의 표준 가맹 계약을 반영해 심야영업 단축을 쉽게 허용하는 식이다. 표면적 이유는 동반성장이지만 속내는 ‘가맹 지키기’ 차원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신규 출점이 어려워진 데다 미니스톱 인수전마저 불발되면서 업계의 뺏고 빼앗기는 싸움이 본격화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다음 달부터 편의점 출점 거리 제한이 현행 50m에서 100m로 강화된다. 지난해 12월 편의점 업계가 근접 출점을 자제하겠다는 자율 규약을 마련한 데 따른 것이다. 이렇게 되면 신규 출점이 어려워진다.

6일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상위 5개 업체 편의점 수는 4만1200여개다. 편의점 수는 2013년 2만4800여개에서 5년 새 1.7배가량 증가했다. 이미 포화 상태다.

미니스톱 인수전처럼 매물로 나온 브랜드를 대거 가져오는 방식이 아니면 점포를 빠르게 늘릴 만한 방법이 마땅찮다. 이마저도 없던 일이 되면서 편의점 업계에서 몸집을 키우려면 ‘가맹 유치’가 유일한 대안이 됐다. 기존에 운영 중인 편의점의 가맹 계약이 종료되는 시점에 ‘간판 바꿔달기’를 하는 게 점포를 늘리는 가장 쉬운 방법이 된 셈이다. 업계에 따르면 올해 계약이 끝나는 편의점 수는 1000여개다. 이 1000여개 점포를 놓고 현재의 가맹 계약을 유지하면서 경쟁사의 가맹점을 유치하는 양동작전을 펼쳐야 하는 상황이다.

편의점 업계가 내놓은 ‘당근’은 각종 상생 방안이다. 업계 1, 2위를 다투는 CU와 GS25는 각각 최저 수입을 보전해주는 방안을 내놨다. GS25는 최저 수입 보조 기간을 기존 1년에서 2년으로 늘리기로 했다. 해약수수료 없이 폐점할 수 있는 희망 폐업 제도도 도입한다. 가맹점 이익 배분율을 평균 8% 포인트 높이겠다는 방안도 내놓았다. CU는 최저 수익금을 보전해주는 기준을 120만원 낮췄고, 신선식품 폐기 지원 비용을 월 30만원씩 늘리기로 했다. 세븐일레븐도 신선식품 폐기 지원을 기존 20%에서 50%로 늘리고, 폐점 위약금을 50% 감면해주기로 했다. 심야 영업과 명절 휴무 등을 자율 선택할 수 있도록 계약조건 변경도 추진된다.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업계 이익을 낮추는 일이지만 장기적인 성장에 유리하기 때문에 상생 방안들을 내놓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계가 특히 눈독을 들이는 점포도 있다. 올해 상반기 안에 입찰 예정인 서울 한강시민공원의 편의점 11곳이다. 난지·뚝섬·여의도·반포 지구 등인데 2016년 이 11곳의 매출만 124억원이었다. 기존 운영사였던 미니스톱을 제외한 4곳의 편의점 업체가 입찰에 뛰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관계자는 “한강 편의점은 한창 바쁠 땐 본사 직원들이 지원을 나가야 할 정도다. 금싸라기 땅의 편의점을 차지하는 게 수익이 불투명한 점포 수십개를 늘리는 것보다 낫다”고 말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