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교육청은 지난달 17일 이 지역 한 특수학교에 현직 특수교사 A씨를 징계하도록 요구하는 공문을 보냈다. 그는 특수교사·준비생들을 위한 유명 온라인 카페를 10년 넘게 운영해 왔다. 교육청은 A씨가 모친 명의로 출판사를 만들어 교재를 제작 판매하고 카페 광고수익을 공지 없이 챙기는 과정에서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아 영리활동 및 겸직 금지조항 등을 위반한 것으로 봤다. 그는 혐의를 시인하고 운영자 자리를 내놓겠다는 의사를 밝힌 상태다.
A씨가 운영해온 카페는 특수교사 임용시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온라인 모임이다. 이곳이 인기를 끌게 된 건 임용시험과 관련해 달리 믿을 곳이 없는 준비생들의 처지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경쟁률이 과도하게 높고, 시험범위 역시 일반 임용시험보다 지나치게 광범위하는 등 관련 제도가 제대로 정비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31일 교육계에 따르면 초등 특수교사 임용시험의 난이도는 일반 임용은 물론 다른 특수교사에 비해서도 높은 편이다. 공부해야 하는 영역이 ‘특수교육학’과 ‘특수교육과정’ ‘초등교육과정’으로 단순계산상 일반 초등 임용의 3배다. 시각장애·청각장애 등 세부영역과 교육과정마다 포함된 13~14개 과목을 합치면 승합차 하나에 참고서가 가득 들어차는 양이다.
과목별 출제 비중 역시 매년 크게 변동돼 ‘찍기’식일 수밖에 없다는 게 수험생들의 일반적인 토로다. 2013년부터 기출문제 해답도 공개되지 않아 사교육 강사마다 내놓은 해답을 죄다 공부해야 한다. 9년 공부 끝에 지난해 가까스로 특수교사가 된 B씨(31)는 “교육과정이 바뀌었을 때는 이 모든 걸 처음부터 다시 공부해야 한다는 생각에 한참을 펑펑 울었다”고 말했다.
시험관리의 오류도 반복되고 있다. 지난해 임용시험에서는 2교시 출제 문제가 실수로 3교시에 그대로 출제되는 사건이 벌어져 전원 정답 처리하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최근 비공개인 시험 등수를 홈페이지 조작 몇 번 만으로 알아내는 방법이 온라인상에 퍼지면서 황급하게 이를 틀어막는 일도 발생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문재인정부 들어 한해 전국 초등 특수교사 임용규모는 400명가량으로 전 정권에 비해 4배 가까이 늘었다. 그러나 법적기준 충족률은 70% 수준에 그친다. 경쟁률 역시 8대 1에 육박할 정도로 높다. 한 교육계 관계자는 “최소 5~6년 이상은 현 규모로 뽑아야 기준을 채울 것”이라며 “정권이 바뀌면 규모가 유지된다는 보장이 없다”고 말했다. 같은 불안감에 최근 준비생들도 군 입대까지 연기하며 공부하는 예가 급격히 늘었다.
김동일 서울대 특수교육연구소장은 “과다 경쟁과 특수교사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임용 규모를 늘리고, 대학처럼 테뉴어(Tenure) 시스템을 도입해 임용시험 하나에 모든 게 결정되지 않도록 하는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
특수교사 임용시험 관리 엉망… 현직 교사가 교재 만들어 팔다 징계
입력 2019-02-01 04:05 수정 2019-02-01 1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