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와 현대자동차의 ‘광주형 일자리’ 협상이 사실상 타결됐다. 이로써 노·사·민·정 대타협을 기본 정신으로 하는 일자리 창출의 첫 번째 모델이 우여곡절 끝에 결실을 맺게 됐다. 지난 2014년 6월 윤장현 당시 광주시장 후보가 ‘광주형 좋은 일자리 창출 1만개 공약’을 발표한 지 4년 반, 현대차가 광주시에 투자의향서를 제출한 지 7개월여 만이다.
광주시는 30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노사민정협의회를 열고 광주시와 현대차의 잠정 합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고 밝혔다.
이날 협의회는 지난해 12월 광주시 노동계와 현대차의 투자 협상이 결렬된 후 처음 열렸다. 협의회는 지난해 말 노동계가 반발해 온 임금·단체협상 유예 조항을 빼고 주 44시간 근로에 연봉 3500만원, 생산 규모 연산 10만대 등의 수정안을 의결했지만 현대차가 이를 거부하면서 성사 직전 무산됐다.
광주시와 현대차는 이후 10여 차례 비공개 협상을 통해 광주형 일자리와 합작법인 설립에 관한 합의를 도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쟁점은 ‘임금·단체협상 유예’ 조항이었다. 광주시 관계자는 “현대차와 추가 협상에 이어 지역 노동계와 꾸준한 대화를 통해 해당 조항이 5년 동안 노사 협상을 전혀 하지 않는다는 의미는 아니라는 데 합의해 절충점을 찾았다”고 말했다. ‘신설법인 노사상생발전협의회 결정사항 유효기간은 조기 경영안정 및 지속 가능성 확보를 위해 누적 생산 목표대수 35만대 달성까지로 한다’는 조항이 노조 활동을 저해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대신 협의회는 지역 노동계 의견을 받아들여 부속 결의 형태로 노조의 합법적 활동을 보장하는 조항을 투자협약서에 명기하기로 했다.
광주시와 현대차 간 잠정 합의안이 협의회에서 추인됨에 따라 광주형 일자리를 전제로 한 완성차 합작법인 설립은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광주 완성차 합작법인의 1대 주주인 광주시는 합작법인의 자기자본금 2800억원 중 21%인 590억원, 2대 주주인 현대차는 19%인 530억원을 투자한다.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정규직 1000여명이 고용되고 간접고용까지 포함하면 1만2000여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보인다.
광주시와 현대차는 31일 노사민정협의회가 추인한 잠정 합의안을 토대로 투자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다만 광주형 일자리에 반대해 온 현대·기아차노조가 총파업에 나서겠다고 예고해 막판 변수가 될 전망이다.
임세정 기자, 광주=장선욱 기자 fish813@kmib.co.kr
광주형 일자리 우여곡절 끝에 결실
입력 2019-01-31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