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비인가 대안학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공교육 수준의 학습권을 보장하는 ‘서울형 대안학교’로 육성하겠다고 30일 밝혔다.
서울시는 비인가 대안학교 중 종교·정치적 편향성, 대안교육이나 청소년 지도의 전문성, 재정 운영의 투명성 등을 점검해 서울형 대안학교로 지정한다. 올 하반기 15개교를 시작으로 2022년 총 45개교까지 늘릴 계획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에서 매년 1만명 이상의 학생들이 학교를 떠나고 있다. 서울 학령인구 93만8000여명 중 약 8만여명이 학교 밖 청소년으로 추산된다. 현재 교육당국의 지원을 받지 않는 서울시내 비인가 대안학교는 82곳이며, 이중 44개교(재학생 950명)를 서울시가 지원하고 있다.
서울형 대안학교로 학교 운영비의 70% 정도를 서울시가 지원한다. 이렇게 되면 대안학교 학생 1인당 교육비가 880만원으로 올라가서 공교육비(942만원) 수준에 육박하게 된다. 그동안 서울시는 운영비의 40%를 지원해 왔다.
또 교사 충원을 위해 학교마다 최소 3명, 최대 7명까지 교사 인건비를 지원한다. 이밖에도 예체능 교사 파견을 통한 교육 지원, 교사 교육·연수 기회 제공 등도 이뤄진다.
백호 서울시 평생교육국장은 “대안학교들은 학교 임대료나 교사 인건비도 충당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교사들 이직이 잦고 교육수준도 높지 않다”면서 “서울형 대안학교를 도입해 정규교육이 아닌 다른 길을 선택한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도 공교육 수준의 학습권을 보장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3개월간 월 30만원씩 받으며 현장에서 경험을 쌓는 인턴십, 검정고시 및 자격 취득을 위한 연 100만원 학습비 지원, 저소득층 청소년 대상 대안학교 장학금 등 기존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사업도 확대한다. 또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를 올해 처음으로 실시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대안학교의 교육 환경과 수준이 높아지면 더 많은 학교 밖 청소년들이 대안학교 안으로 들어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학교 밖 청소년들 지원 강화… 공교육 수준의 학습권 보장
입력 2019-01-30 2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