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 자치구 중 가장 화려한 성적표를 받아 든 곳은 단연 성동구였다. 지난해 말 정부혁신평가에서 전국 226개 지자체 중 1등을 차지했고 민원서비스·재난관리·일자리대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을 휩쓸었다. 외부기관평가로 확보한 인센티브만 49억원에 달한다. 하지만 수상의 기쁨에 젖을 새도 없이 정원오(사진) 구청장은 굵직굵직한 비전을 내놨다.
특히 일자리 정책이 눈에 띈다. 이달 초 정 구청장은 민선 7기 구정 최우선 과제로 일자리 대책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2022년까지 3만개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선언했다. 정 구청장은 “청년과 어르신, 소상공인 등 계층 다양성에 맞춘 정책을 고민하고 성동구 지역에 맞는 일자리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기업을 대상으로 ‘성동 세일즈’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정 구청장은 “재정·행정 인센티브로 기업을 유치하면 기업이 일자리와 창업 공간을 마련하도록 장려하고 있다”며 “KT&G가 성동구에 소셜 벤처를 지원하는 ‘청년창업지원센터’를 건립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의 휴대전화 번호는 구민들에게 공개돼 있다. 언제든 민원을 문자메시지로 접수받아 조치하기 위해서다. 정 구청장은 “행정의 존재 이유는 주민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라며 “민원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구정에 반영하면 ‘워라밸(일과 삶 균형) 시대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 정책’인 셈”이라고 말했다.
재선인 정 구청장은 지난 임기 ‘젠트리피케이션(둥지 내몰림) 방지’에 힘을 쏟았다. 관련 조례를 제정했고 성동구 일부를 ‘지속가능발전구역’으로 지정해 세입자와 건물주의 상생협약을 지원했다. 그는 “성동구의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정책들이 확산될 수 있도록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정 구청장은 주민이 소외받지 않는 ‘스마트포용도시’ 혁신 도시를 만들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그는 “미래 기술이 아니라 당장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도입해 주민 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혁신 모델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신년 초대석-정원오 서울 성동구청장] “지역 맞춤형 일자리 정책 추진… 2022년까지 3만개 창출”
입력 2019-01-29 2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