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간 레이더·위협비행 갈등이 심각한 가운데 한·미·일 당국자들이 조만간 일본에서 회동할 것으로 보인다. 한·일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미국이 적극적으로 중재에 나서는 모양새다.
노규덕 외교부 대변인은 29일 정례브리핑에서 “김태진 외교부 북미국장이 유엔군사령부의 초청으로 30∼31일 주일 유엔사 후방기지를 방문해 주일미군 관계자 등과 면담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국장은 도쿄 요코다 공군기지와 요코스카 해군기지를 시찰할 예정이다.
또 김 국장은 일본 외무성 대미 외교 당국자와의 면담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미 관계 담당자들의 접촉이어서 미국 측 인사를 포함한 한·미·일 3자 회동이 이뤄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미국이 중심이 되는 유엔사를 매개로 당국자들이 접촉하게 되는 셈이다. 3자 접촉에서는 한·일 갈등 사안에 관한 의견 교환이 이뤄질 것으로 관측된다.
최현수 국방부 대변인도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한·일 초계기 갈등과 관련해 한·미·일 간 협의를 진행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화의 문은 항상 열어 놓고 있다”며 “미국 입장에서는 한·미·일 간 동맹 문제도 중요하기 때문에 관심을 갖고 있다면 (협의)해야 될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앞서 28일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가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강경화 외교부 장관을 잇달아 만난 것도 한·일 갈등을 중재하기 위한 미국의 행보로 해석됐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미국의 동북아시아 전략의 핵심은 한·미·일 안보 공조를 통해 중국을 견제하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한·일 갈등을 과거에도 중재해 왔는데 이번엔 사실 늦은 감도 조금 있다”고 말했다.
박원곤 한동대 교수는 “미국은 위안부 문제나 강제징용 문제에 대해선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았지만, 초계기 갈등 문제는 미국이 한·미·일 3자 회의를 만든다면 충분히 조기에 해결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
중재 나선 미국, ‘한·일 초계기 갈등’ 해결 위한 3국 회동할 듯
입력 2019-01-30 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