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당시 ‘전남도청·경찰국’ 원형 복원 밑그림 나왔다

입력 2019-01-29 19:26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의 최후 항전지인 옛 전남도청과 전남경찰국 원형복원의 밑그림(조감도)이 나왔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9일 옛 전남도청 별관 1층에서 원형복원 기본계획 용역 최종 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용역은 5·18민주화운동의 상징적 건물인 옛 전남도청 등을 39년 전 당시 모습대로 최대한 되살리기 위한 것이다. 5·18기념재단 등 5월 단체와 광주시민들은 그동안 5·18의 역사성을 간직한 전남도청의 옛 모습을 되찾아달라고 정부에 줄기차게 요구해왔다.

용역을 맡은 조선대 산학협력단은 지난해 8월부터 6개월간 진행한 대상건물 6개동에 대한 복원 기본구상을 발표했다. 복원대상 6개동은 전남도청의 본관 별관 회의실, 전남경찰국의 본관 민원실 상무관이다.

문체부와 협력단은 범시도민대책위원회 요구를 반영하고 현재 건물의 상태, 기존 구조물 철거 여부, 건축법과 장애인 편의시설 등 법적·기술적 사항을 고려해 복원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도청 본관 별관 회의실과 당시 경찰국 민원실 등의 연결통로를 80년대 당시대로 복원하기로 했다. 현재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입구가 된 옛 전남도청 별관도 3·4층 위주로 복원하되 아시아문화전당과 소통하는 공간을 따로 마련한다. 시민군 상황실과 방송실이 있던 본관 1층 서무과, 수습대책위원회가 자리했던 2층 부지사실 등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는 철거하기로 했다. 옛 도청 상황실과 경비실, 정문기둥에 있었던 총탄흔적도 재현할 방침이다.

당초 본관 1층 서무과와 2·3층의 도지사 부지실 등은 2010년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민주평화교류원으로 리모델링하는 과정에서 사라졌다. 용역기간 동안 새롭게 발견된 옛 전남도청 7층과 옛 전남경찰국 외부의 총탄 흔적도 원형 복원이 추진된다.

문체부와 협력단은 그동안 수집한 사진과 기록물 등을 분석하고 당시 근무 직원, 시민군의 구술과 현장 검증을 거쳤다고 설명했다. 문체부와 협력단은 이날 최종보고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수렴해 오는 3월 최종 대국민설명회를 가질 예정이다. 문체부는 설계용역 등을 거쳐 2022년까지 옛 전남도청 복원사업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이철운 문체부 옛전남도청 복원전담팀장은 “기본구상을 위한 이번 용역은 외형 복원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며 “내부 전시방안 등은 추가 자료수집과 5월 단체의 검증, 의견수렴을 거친 후 확정하게 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