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초구청이 39층짜리 신청사(조감도)를 짓는다. 서울시내 오래된 구청 청사가 복합개발되는 첫 사례다. 신청사에는 구청 외에 어린이집, 도서관, 영화관, 오피스텔에 공공임대주택 입주까지 거론되고 있다. 신청사 건립을 추진하는 종로구 등 다른 구청에게도 복합개발이 해법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서초구는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공사)를 신청사 복합개발 사업의 공동 사업자로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신청사 건립은 조은희 서초구청장이 2015년부터 추진해온 사업이다. 서초구는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위탁개발 방식을 모색해 왔고, 국토교통부와 LH에서 추진하던 ‘공공건축물 리뉴얼사업’의 시범사업지로 선정되면서 사업이 가능해졌다. 위탁개발 방식이란 국·공유지에 공공사업자가 자금을 선투입해 개발한 후 일정기간 동안 관리·운영하며 임대수익을 활용해 사업비를 상환받는 제도다.
SH공사는 공동 사업자로 참여했다. SH공사는 지난해 오류동 주민센터 복합개발을 담당했다. SH공사는 서초구청 신청사를 계기로 서울시내 노후화된 공공청사에 대한 복합개발 사업을 지속적으로 늘려나가겠다는 계획이다.
두 공사가 제안한 건립계획에 따르면 신청사는 현 청사 부지에 약 6000억원을 투입해 지하 6층 지상 39층, 총 연면적 20만㎡ 규모로 조성된다. 신청사에는 청사시설 외에 주민편의시설, 상업 및 업무시설, 임대주택 등이 들어선다. 주민편의시설로는 어린이집, 육아종합지원센터, 도서관 등이, 상업 및 업무시설로는 오피스, 오피스텔, 영화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초구는 주민들과의 논의를 통해 신청사의 시설 규모와 용도를 구체적으로 확정해 나갈 예정이다. 조 구청장은 “신청사를 어떻게 만들고 어떤 시설들을 넣을지 이제 막 논의를 시작한 수준”이라며 “공연장을 지어달라, 노인시설을 넣어달라, 청년창업공간이 필요하다, 다양한 요구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조 구청장은 이어 “신청사 건립은 지난 4년간 주력해온 사업”이라며 “구청사 복합개발의 첫 사례인만큼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 주목할만한 모델을 제시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서초구청 신청사 건립은 올해 예비타당성조사를 시작으로 투자심사, 공유재산관리계획 변경 등 행정절차를 이행하고 2023년 착공, 2026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된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서초구청 39층짜리 신청사, 사상 첫 복합개발로 짓는다
입력 2019-01-28 2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