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차례 시외버스가 2차례로 축소, 주52시간 여파로 농어촌 주민들만 불똥

입력 2019-01-29 04:01

전북 익산을 출발해 김제∼부안∼줄포∼흥덕을 거쳐 고창까지 하루 8차례 오가던 시외버스의 운행 횟수가 지난해 2차례로 줄었다. 하루 7차례 익산에서 김제를 거쳐 부안까지 향하던 시외버스는 지난해 9월 휴업에 들어갔다. 남원에서 남원역∼순창 적성면을 지나 순창읍까지 1차례 오가던 시외버스 노선은 아예 폐지됐다.

지난해 7월 주52시간 근로제가 도입된 후 적자 노선에 대한 운행을 감축하거나 폐지하는 버스업체들이 늘고 있다. 1년간 유예됐던 버스업계의 주52시간 근로제가 오는 7월 도입되면 멈춰서는 ‘서민의 발’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교통약자 보호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이유다.

28일 전북도의회 최영일 의원이 전북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지역 전체 시외버스 240개 노선 가운데 16개 노선이 1년간 휴업하고 26개 노선이 감회·폐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노선의 운행 중단 또는 감축 횟수는 하루 133회에 이른다.

최 의원은 “우려했던 일이 눈앞의 현실이 되어 버렸다”며 “오는 7월 버스업계에도 주52시간 근로제가 시행되면 폐지 혹은 감축 노선은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없어지거나 줄어든 노선은 대부분 승객이 적은 농산어촌 지역”이라며 “이들 지역 교통 약자들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북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펼쳐지고 있다. 지난해 11월 시외버스 업체 2곳이 18개 노선(55회 운행)의 운행을 1년간 중단하고, 17개 노선의 운행 횟수를 52회 줄였다. 이로 인해 구미에서 동대구와 북대구간을 하루 39차례 오가던 두 노선의 운행이 22차례로 줄었다. 서대구∼안동, 대전∼구미∼안동 등 18개 노선은 1년간 휴업에 들어갔다. 경북 북부권 등 인구가 적은 농어촌 지역의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충남에서도 지난해 시외버스 157개 노선이 감회·단축되거나 노선이 변경됐다.

지역의 버스업체들은 인력 수급 어려움과 비수익노선 손실액 증가 등을 이유로 노선 감차와 감축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각 지자체는 노선 조정 등 대책 마련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공공성이 높은 노선(벽오지 운행 시외버스 등)과 출퇴근 시간대 운행 버스는 감회·감차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면서도 “노선 조정과 축소는 전국적인 현상”이라고 말했다.

버스업계 주52시간 근무제는 오는 7월 300인 이상 버스 운송업체부터 적용된다. 50∼299인 운송업체는 2020년 1월, 5∼49인 운송업체는 2021년 7월에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된다.

전주·안동·홍성=김용권 김재산

전희진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