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제품 포장재가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플라스틱·비닐에서 친환경 소재로 바뀐다. 친환경 정책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 이미지를 강화하는 동시에 윤리적 소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 추세를 겨냥한 전략이다. 이 같은 친환경 정책은 전 세계적인 플라스틱·비닐 소비량 감축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최근 사회적 쟁점이 되고 있는 자원 고갈과 플라스틱 폐기물 증가 등의 환경문제 해결에 동참한다는 취지에서 포장재를 종이와 친환경 소재로 바꾸기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우선 전 세계에 출시하는 휴대전화와 태블릿PC, 웨어러블 기기 등 모바일 제품에 사용하는 플라스틱 용기 및 일회용 비닐 포장이 올해 상반기부터 종이 또는 친환경 소재로 바뀐다. 제품을 담는 플라스틱 재질 용기는 펄프몰드와 종이로, 이어폰과 케이블을 감싸는 비닐류는 종이 또는 친환경 소재로 교체한다. 펄프몰드는 대나무, 사탕수수 찌꺼기를 원료로 하므로 목재원료 사용량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충전기는 외관 디자인을 무광으로 바꾸고 표면 보호용 비닐도 제거한다.
TV와 냉장고, 세탁기 등 생활가전 제품의 비닐 포장재에는 재생 소재와 바이오 소재를 단계적으로 적용하기로 했다. 재생 비닐은 폐비닐을 원료로 사용해 석유화학 원료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바이오 비닐은 전분과 사탕수수를 원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화석 연료를 사용하지 않는다.
삼성전자는 5대 자원순환 정책 방향도 설정했다. 제품 설계 시 재생원료 사용을 확대하고 제품 수명은 늘린다.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자원은 다시 사용하고, 포장재 크기는 줄인다. 제품 교체 주기는 연장한다. 이를 통해 2020년까지 모든 종이 포장재와 인쇄물에 ‘지속가능산림’ 인증을 받은 종이를 사용하기로 했다. 아울러 2030년까지 재생 플라스틱 50만t 사용, 2030년까지 폐제품 750만t 회수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유성열 기자
삼성전자, 스마트폰 등 제품 포장재 플라스틱·비닐서 친환경 소재로 교체
입력 2019-01-27 1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