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미세먼지 대책’ 손잡았다

입력 2019-01-24 19:14

한국과 중국이 고농도 미세먼지를 2~3일 전에 예측할 수 있는 ‘미세먼지 조기경보 시스템’을 만든다. 중국 측 반대로 발표가 미뤄진 ‘동북아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LTP)’ 연구 결과도 올해 안에 공개하기로 합의했다.

환경부와 외교부는 24일 서울정부청사에서 지난 22일부터 이틀간 서울에서 열린 제23차 한·중 환경협력회의 결과를 발표했다. 정부는 이번 회의에서 재난 수준의 미세먼지로 국민 불안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하고 양국의 꾸준한 저감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과 중국은 우선 고농도 미세먼지에 빠르고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조기경보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중국의 미세먼지 장단기 예보 등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해 예보 정확도를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전문가 워크숍 등 예보기술 교류도 진행할 방침이다.

2017년부터 진행된 ‘청천(晴天) 프로젝트’의 연구 범위도 확대한다. 이 프로젝트는 중국 화베이 지역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의 이동과 변환 과정을 추적하는 한·중 공동조사 연구사업이다. 기존 조사대상 지역은 베이징 등 4개 도시였지만 올해 탕산과 센양 2개 도시가 추가됐다.

양국은 오는 11월 열리는 한·중·일 환경장관회의에 맞춰 ‘LTP 연구 보고서’를 발간할 수 있도록 협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중국발 미세먼지의 이동경로를 밝혀줄 ‘LTP 보고서’는 지난해 중국의 반대로 한 차례 발표가 미뤄졌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중국이 LTP 보고서 작성에 공동 참여하는 것 자체가 한반도에 주는 영향을 인정하는 것”이라며 “이번 회의에서도 중국 측이 미세먼지 영향을 직접적으로 부인하지는 않았다”고 전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