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아베는 초계기 위협비행 중단하고 사과하라

입력 2019-01-25 04:01
한국 해군 군함에 대한 일본 해상자위대 초계기의 위협비행이 갈수록 노골화하고 있다. 한·일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면서 군사 충돌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서욱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은 23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오늘 오후 2시3분쯤 이어도 인근 해상에서 일본 초계기가 우리 해군 함정을 명확하게 식별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거리 540m, 고도 60~70m의 저고도로 근접 위협비행을 했다”며 “명백한 도발 행위로 간주한다”고 밝혔다. 서 본부장은 “일본 정부에 분명하게 재발 방지 요청을 했음에도 또다시 근접 위협비행을 했다”며 “강력하게 규탄한다”고 말했다.

우리 해군이 “더 이상 접근하면 자위권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20여 차례나 경고했는데도 일본은 “우방국의 항공기에 자위권적 조치를 취한다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고 일축했다. 이와야 다케시 일본 방위상은 “위협이 되는 비행은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사실을 왜곡하는 망발이고 적반하장이 아닐 수 없다. 일본은 지난 18일과 22일에도 위협비행을 자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12월 20일부터 한 달간 4차례나 위협비행을 강행한 것이다.

그동안 한국은 일본 초계기의 위협비행에 대해 인내하면서 강경한 대응을 자제했지만 일본은 경거망동을 멈추지 않고 있다. 국방부 장관이 초계기 위협비행 사실을 발표하려다 합참 작전본부장으로 급을 낮춘 것도 갈등을 확산시키지 않으려는 우리의 절제된 행위였음을 일본은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행여 일본에서 아베 신조 총리의 지지기반을 넓히기 위해 도발을 일삼는 것은 아닌지 저의가 의심스럽다. 일본은 해군력이 한국보다 절대 우위에 있다고 유세를 부리면 안 된다. 대법원의 일제 강제징용 배상 판결과 일본군 위안부 화해치유재단 해산, ‘레이더 조준 논란’ 등으로 인해 한·일 관계는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이런 마당에 일본의 거듭된 도발은 자칫 위험천만한 군사 충돌로 이어질 수 있다. 군사 충돌은 양국 모두에게 돌이킬 수 없는 피해만 안길 뿐이다. 아베 총리는 초계기를 동원한 연쇄 도발을 즉각 중지하고 사과해야 마땅하다. 한국 정부는 일본에 강력히 항의하면서도 외교적 대화의 끈은 놓지 말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