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사진) 롯데그룹 회장이 23일 경영 복귀 후 첫 사장단 회의를 주재했다. 신 회장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철저하게 대비하기 위한 구체적인 성장 전략을 주문했다. 공격적이고 지속적인 투자와 함께 윤리경영과 투명경영을 언급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다.
롯데에 따르면 신 회장은 이날 오후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계열사 사장단과 BU(Business Unit) 임원 등 100여명과 함께 ‘2019 상반기 롯데 VCM(Value Creation Meeting)’을 가졌다. 이번 VCM에서는 올해 전망, 중점 과제, 미래 대응 방향, 지속가능 성장 등에 대해 중점 논의됐다.
신 회장은 회의에서 노자의 도덕경에 나오는 ‘대상무형(大象無形)’을 언급했다. 무한한 것은 인간 감각으로 알아채기 어렵다는 뜻으로, 가늠하기 힘든 미래 상황을 다각도로 예측해 철저하게 대비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신년사에서도 ‘비즈니스 트랜스포메이션’을 앞세웠던 신 회장은 “기존의 틀과 형태를 무너뜨릴 정도의 혁신을 이뤄야 한다”고 말했다.
신 회장은 신격호 명예회장이 사업을 일굴 때 지속적인 투자를 놓지 않았다는 점을 언급하며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회의에 참석한 고위 임원은 “(신 회장이) 실적이 좋다고 안주해서도 안 되고, 부진하다고 소극적이어서도 안 된다는 점을 수차례 강조했다”며 “지난 수십년보다 앞으로 2~3년 동안 더 급격히 변화할 수 있으므로 세밀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전했다.
신 회장은 부진한 사업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그는 “침체 기업의 대명사였던 마이크로소프트가 과감한 비즈니스 트랜스포메이션으로 지난해 말 글로벌 시가총액 1위에 올랐다”며 “성장이 가능한 영역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칫 딱딱하고 무겁게 흐르기 쉬운 사장단 회의에 ‘토크콘서트’를 도입해 색다르고 활기차게 이어졌다. 롯데는 최근 3년 동안 IT 전문가들을 집중 채용했다. “외부에서 영입한 전문가들에게 예산과 인력에 대한 권한이 위임되지 않아 빠른 실행이 어려웠다” “승인 단계에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린다” “큰 성과만 요구한다”는 등의 현실적인 지적들이 가감 없이 제기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미래 전략에 대한 논의 위주로 진행돼 최근 불거진 주요 계열사 현안에 대해서는 언급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마트는 물류비 갑질 의혹으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수천억대의 과징금 제재 위기에 처했다. 롯데칠성음료는 국세청 세무조사를 받고 있다. 편의점 미니스톱 인수는 진척이 없는 상태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
신동빈 회장 ‘대상무형’ 언급… “기존 틀 무너뜨릴 혁신 이뤄야”
입력 2019-01-24 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