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GI의 현실적 목표는 수익률 극대화, 한진은 무대응

입력 2019-01-22 04:00

국민연금에 이은 행동주의 사모펀드 KCGI의 경영권 압박으로 한진그룹이 깊은 고민에 빠졌다.

한진칼과 ㈜한진 2대 주주인 KCGI가 21일 공개 제안한 ‘한진그룹의 신뢰회복을 위한 프로그램 5개년 계획’은 조양호 회장 등 오너일가의 입김을 줄여 기업가치를 극대화하겠다는 데 방점이 찍혀 있다.

핵심은 ‘지배구조위원회’ 설치다. 경영진 추천 사외이사를 1명으로 제한한 자문기구를 통해 주주가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지배구조 및 경영 현안을 논의하자고 주장했다. 또 준법경영을 위해 회사에 대한 범죄를 저지르거나 회사 평판을 실추시킨 자의 임원 취임을 금지하자고도 제안했다. 이는 결국 ‘땅콩회항’을 시작으로 각종 갑질 및 불법 의혹에 연루된 조 한진 회장 일가를 지배구조에서 배제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경영권 도전이 실현될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지배구조 개선을 명목으로 알짜 자산 매각 및 주가 제고를 통해 수익률을 극대화하려는 것이 KCGI의 현실적 목표가 아니겠느냐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현대자동차그룹 지배구조 개편과 관련해 미국계 행동주의 펀드인 엘리엇이 지난해 꾸준히 개진해 온 ‘자체 지배구조 개편방안 제시’와 유사한 맥락으로 이해된다.

한진그룹은 KCGI의 제안에 ‘무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조 회장을 비롯한 범오너가 우호지분이 2, 3대 주주인 KCGI나 국민연금에 비해 월등히 높아 3월에 열리는 그룹 주주총회에서 지배구조위원회 설치를 강제하거나, 기존 사측 임원 해임을 강행할 가능성도 극히 낮기 때문이다.

다만 국민연금의 적극적 주주권 행사 여부는 변수다. 국민연금이 KCGI의 손을 들어줄 경우 소액주주 표와 맞물려 본격적인 주총 표 대결 양상이 전개될 수 있다. 때문에 일각에선 한진 측이 외부에 의한 경영권 견제가 구체화되기 전에 ‘눈치 보기’식 침묵을 벗고 지배구조 개선 등 자구안을 선제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