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북·미, 성과 위해 다각도 노력… 비핵화 구체적 합의 나오길 기대”

입력 2019-01-20 19:04

2차 북·미 정상회담의 시기와 장소 확정 소식에 청와대가 기대감을 드러냈다. 특히 북·미 양측이 이벤트성으로 그친 1차 때와 달리 핵심 현안 논의에 집중해 실질적인 성과를 내는 회담이 되길 기대하는 분위기다.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이 2차 정상회담을 다음 달 말쯤 개최키로 했다고 밝히자 일각에서는 시점이 불분명해 또다시 연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하지만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2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장소도 확정됐다고 밝힌 만큼 북·미 양측이 상당 부분 협상에 진전을 이룬 것으로 보인다”며 “2차 정상회담 시기도 다음 달 말을 넘기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가 이번 회담에 기대를 나타내는 것은 고위급·실무협상에서 북·미 양측이 보인 태도다. 미국은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의 방미 사실을 사전에 공개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부위원장과 90분간 회동하며 직접 막바지 조율에 나섰다.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는 워싱턴에서 김 부위원장을 만난 뒤 곧바로 스웨덴 스톡홀름으로 날아가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과 실무협상에 나서는 등 북·미 양자는 동시다발적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미 양측이 2차 정상회담에서 실효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는 것 같다”며 “일단 개최 시기와 장소를 확정한 만큼 이제는 2차 정상회담이라는 틀에 얼마나 (합의사항을) 채워 넣을지를 스톡홀름에서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1차 정상회담과 달리 이번에는 양측 간 비핵화와 관계 개선을 위한 구체적 합의가 나오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2차 정상회담 장소로는 베트남 다낭과 하노이가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베트남은 개혁·개방에 성공한 독재국가인 만큼 북한의 ‘롤모델’이 될 수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베트남이 아닌 또 다른 제3국에서 개최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2차 정상회담이 끝나는 대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도 가시화될 전망이다. 청와대는 지난해 연내 답방을 공개적으로 요청했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철저하게 ‘로키(low key)’로 접근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미 정상회담이 끝나야 김 위원장 답방 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 현재는 어떤 방안도 논의하지 않고 있다”고 말을 아꼈다. 자칫 판을 깰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