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오는 6월 서울 상암동에 세계 최초의 ‘5G 자율주행 테스트베드(시험장)’를 구축한다고 17일 밝혔다. 일반도로에서 5G와 차량통신기술(V2X)을 이용해 자율주행을 지원하는 세계 유일의 테스트베드다. 여기서 이르면 6월 중 자율주행버스의 시범운행도 시작된다.
서울시에 따르면 5G 자율주행 테스트베드의 핵심은 차량과 주변의 모든 것을 연결하는 기술인 V2X를 5G와 세계 최초로 융합하는 것이다. 오는 3월 상용화되는 5G는 LTE(4G)에 비해 20배 이상 빠른 통신기술이다.
테스트베드는 월드컵공원과 서울월드컵경기장, 디지털미디어시티역, DMC를 잇는 구역에 조성된다. 테스트베드에는 자율주행 운행 상황을 실시간 관제, 평가할 수 있는 ‘CCTV 관제 플랫폼’이 설치된다. 또 5G 통신망, V2X 장비, 고정밀(HD)지도, 차량 정비·주차 공간, 전기차 충전소, 휴게·사무공간 등 자율주행 실증에 필요한 모든 장비와 편의시설이 들어간다.
서울시는 상암 테스트베드를 통해 국내 자율주행 업체들이 관련 기술을 시험, 실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세계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5G 자율주행 시내버스는 이르면 6월부터 상암지역에서 시범운행을 개시한다. SK텔레콤 등에서 제작한 자율주행버스가 투입돼 주 3회 이상 운행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또 차와 차를 통신으로 연결해 도로 상황이나 교통사고 정보 등을 공유하는 ‘커넥티드카’ 기술을 적용해 대중교통을 고도화하는 사업도 추진한다. 내년부터 택시 100대에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시범 적용한다. T맵을 통해 전방 교통신호, 교차로 사고 위험, 정류소 근처 버스 급정거 정보 등 8개의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새문안로 등 교통사고 위험이 높은 12개 도로축을 중심으로 2020년까지 ‘스마트 도로인프라’도 구축한다. 무단횡단 보행자 접근 알림, 공사 알림, 불법주·정차 위치 알림 등 도로 위험 관련 30개 서비스가 구현된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서울 상암동에 세계 첫 5G 자율주행 시험장 만든다
입력 2019-01-17 2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