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유력 당권주자로 꼽히는 황교안 전 국무총리 입당 이후 차기 당권주자들 간 신경전이 고조되고 있다. 한국당이 2·27 전당대회 당대표 선출 방식을 담은 당헌·당규 개정안을 의결하기 위해 17일 개최한 전국위원회에서도 황 전 총리를 제외한 당권 주자들이 총집결했다.
한국당은 오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를 잇달아 열고 단일지도체제와 당대표, 최고위원 분리 선출을 골자로 하는 당헌·당규개정안을 최종 의결했다. 이 자리에는 당 국가미래비전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오세훈 전 서울시장과 정우택·주호영·안상수·김진태 의원, 김문수 전 경기지사 등 당권주자들이 총출동해 참석자들에게 인사를 했다. 이들은 한목소리로 황 전 총리를 견제했다.
오 전 시장은 최근 당내 ‘친황(친황교안) 모임’ 논란과 관련해 “좀 과장된 측면이 없지 않다. 새로 정치를 시작하는 분 주위에 현역 의원 몇 분이 조언해 주는 정도로 본다”면서도 “아직 친오(친오세훈)라는 말이 안 나오는 것 같아 다행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전당대회가 대권 경쟁처럼 인식돼서는 안 된다”며 황 전 총리 출마를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홍준표 전 대표도 페이스북에서 황 전 총리 입당과 관련해 “도로친박당, 탄핵당, 병역비리당이 되지 않게 당 관계자들과 당원들이 함께 노력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황 전 총리의 약점으로 거론되는 탄핵 책임론과 병역면제 사실을 들먹이며 비꼰 것이다.
황 전 총리는 전국위에는 참석 자격이 되지 않아 불참했다. 앞서 오전 열린 당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황 전 총리에게 전국위 참석 자격이 되는 당 상임고문과 국책자문위원 직을 주는 방안이 논의됐지만 보류됐다. 김병준 비대위원장은 입당 직후 국가미래비전특위 위원장을 받은 오 전 시장처럼 황 전 총리도 고문 직함을 주자고 제안했지만, 나경원 원내대표 등 일부 비대위원이 다른 당원과의 형평성 문제와 전당대회 공정성 시비 등을 근거로 반대했다.
황 전 총리는 전국위 참석 대신 당 사무처와 보수 인사들을 두루 만나며 정치권과의 접점을 넓히는 데 주력했다. 황 전 총리는 국회에서 당 사무처 직원들과 인사를 나눈 뒤 기자들과 만나 최근 당내 친황 논란과 관련해 “(친황이 아니라) 친한일 것이다. 대한민국을 사랑하고 한국당과 친해지고 싶다는 얘기일 것”이라고 부인했다.
황 전 총리 입당 이후로 비대위에 대한 당내 불만의 목소리는 높아지고 있다. 특히 김 위원장의 전당대회 출마 가능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전당대회 출마와 관련해 “지금은 출마 안 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혀 있지만 (내가 안 나가면) 계파 논쟁이 오히려 첨예해질 수 있다 해서 (주변의 출마 권유를) 무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 재선 의원은 “김 위원장이 전당대회에 출마하려면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회 구성 전에 사퇴했어야 한다”며 “어떤 이유에서든 심판이 갑자기 선수로 뛰려 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한국당은 전국위에서 현행 1000원으로 규정된 당비를 2000원으로 인상하는 안건을 논의했지만 “당이 좀 더 국민의 신뢰를 받은 뒤 당비를 인상하는 게 좋겠다”는 의견이 많아 유보했다.
이종선 심우삼 기자 remember@kmib.co.kr
한국당 전국위원회에 황교안 빼고 당권주자들 총집결
입력 2019-01-17 1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