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미래차 시장에서 기술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와 이동통신사가 ‘커넥티드카 동맹’을 맺었다. 커넥티드카 개발에는 차량과 외부 시설의 유기적인 연결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관련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산업 간 협력이 활발하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자동차 부품업체가 커넥티드카 기술 개발을 위해 통신사와 손잡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대모비스가 미래 자율주행 커넥티드카 기술 개발을 위해 KT와 협력에 나선다고 17일 발표했다.
양사의 협력은 현대모비스가 5G 기반 커넥티드카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KT가 충남 서산에 위치한 현대모비스 주행시험장에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는 식으로 이뤄진다. 현대모비스 측은 “이번에 구축한 5G 통신망을 바탕으로 실시간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기술과 차량 사물 간 통신(C-V2X) 기술 개발을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기술은 선행 차량이 수집한 교통정보를 서버로 보내면 실시간으로 지도에 반영해 후행 차량에 전달하는 기술이다. 최적의 주행경로 업데이트를 통해 안전하고 빠른 주행을 가능케 하는 자율주행시대 핵심 기술로 불린다. 기존 4G 통신망 기반의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은 지도를 업데이트해 경로를 재산정하는 데 최대 수십분이 소요된다. 하지만 4G에 비해 통신 속도가 100배 이상 빠른 5G 망을 이용하면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반영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현대모비스는 현재 전세계에서 시험운행 중인 자율주행차 ‘엠빌리(M.Billy)’에 탑재한 센서들을 통해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주행에 영향을 주는 핵심 정보를 추출해 서버로 송신하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C-V2X의 경우 현대모비스가 차량에 탑재되는 제어 시스템을 전담하고 KT는 교통정보 서버와 인프라 장치를 이용해 도로 공사 정보나 신호등 정보 등을 차량에 전달하는 기술을 개발하게 된다.
현대모비스와 KT는 이 같은 협업을 통해 올해 안에 관련 기술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 IHS마킷은 글로벌 커넥티드카 판매량이 지난 2015년에 2400만대 규모였으나 2023년에는 7250만대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른 시장조사 기관 RM 역시 2017년 커넥티드카 시장이 82조원 수준이었지만 2025년엔 245조원으로 연평균 14.8%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현대모비스 EE(Electrical & Electronics)연구소장 장재호 전무는 “세계적 수준의 통신기술뿐 아니라 자동차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KT라는 믿을 만한 파트너와 함께하게 된 만큼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커넥티드카 기술을 확보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
245조 시장 정조준… 현대모비스-KT ‘5G 커넥티드카 동맹’
입력 2019-01-17 2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