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모 4명 중 3명 산후조리원 이용, 평균 13.2일 220만7000원 지출

입력 2019-01-17 19:28

산모 4명 중 3명이 산후조리원을 이용하고, 더 많이 선호하는 산후조리 장소도 집보다 산후조리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집에서 산후조리를 권장하는 정부 정책과 반대 결과다.

보건복지부는 2017년 출산한 산모 2911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9월 7일부터 16일까지 설문조사한 결과 출산 후 6주 동안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비율이 75.1%였다고 17일 밝혔다. 6주간 산후조리에 이용한 장소를 모두 골라 달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본인 집(70.2%)과 친가(19.8%), 시가(2.4%)가 뒤를 이었다. 정부가 산후조리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벌인 건 처음이다. 선호하는 산후조리 장소는 산후조리원이 75.9%로 압도적이었고 본인 집과 친가를 선호한다고 답한 사람은 각 17.7%, 6.0%에 그쳤다.

산모들은 평균 13.2일을 산후조리원에서 지내며 220만7000원 정도를 내는 것으로 집계됐다. 절반이 넘는 산모는 만족스러운 산후조리를 위해 필요한 정책 1순위로 ‘산후조리원 경비지원’을 꼽았다.

이러한 결과는 감염 위험 등을 이유로 공공산후조리원 설치에 소극적 태도를 보여온 정부 정책과 현실의 수요가 크게 다름을 보여준다. 정부는 집에서 산후조리를 하는 산모를 지원하기 위해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을 벌이고 있다. 지원 대상을 올해부터 기준중위소득 80%에서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로 늘렸다. 설문조사에서 이를 확대해 달라는 요구는 15.4%에 불과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산모와 신생아는 면역력이 약한데 산후조리원은 감염병 관리에 부족한 측면이 있다”며 “한정된 재원에선 집안 내 산후조리 지원 대상을 확대하는 게 우선”이라고 했다. 또 “3년 단위로 산후조리 경향을 살펴본 뒤 정책 방향을 설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