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손혜원·서영교 의혹 진상조사 착수

입력 2019-01-16 18:54 수정 2019-01-16 18:55
사진=김지훈 기자

손혜원·서영교(사진)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관련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손 의원은 목포 지역의 부동산 투기 의혹, 서 의원은 지인의 재판 청탁 의혹을 받고 있다. 민주당이 16일 자체 진상조사에 착수했지만 두 의원 모두 해당 의혹을 강하게 부인하고 있어 당 차원의 조사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손 의원 의혹의 핵심 쟁점은 ‘미공개 정보 활용 여부’, ‘부동산 투기 여부’다. 손 의원 주변 인사들은 2017년 3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목포에서 모두 9건의 부동산을 매입했다. 그런데 문화재청은 지난해 8월 이 부동산들이 위치한 지역을 등록문화재인 ‘근대역사문화공간’으로 지정했다. 손 의원이 문화재 지정 사실을 미리 알고 지인들에게 부동산 매입을 권유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손 의원은 문화재청을 소관하는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민주당 간사다.

하지만 손 의원은 “관련 정보를 사전에 알지도 못했고, 투기 목적도 아니다”고 반박했다. 또 “매입한 건물을 되팔아 차익이 발생한 적도 없다”며 “매입 부지는 박물관이나 기념관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문화재 지정 계획이나 투기와 상관없이 목포의 구도심을 지키기 위해 주변에 부동산 매입을 권유했다는 것이다. 손 의원은 “탐사보도를 가장한 인격 말살”이라며 투기 의혹을 제기한 방송국을 고소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목포가 지역구인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은 “투기 여부는 현지 여론에 따라 상반되지만 저는 투기로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손 의원은 평소 문화재에 대한 관심이 남다른 것으로도 유명하다. 지난해 3월 공개된 재산 53억원 중 28억원이 나전칠기나 도자기 등 예술품이었다.

서 의원의 재판 개입 의혹은 임종헌 전 법원행정처 차장을 추가 기소하는 과정에서 제기됐다. 사법농단을 수사한 검찰이 “임 전 차장이 2015년 5월 국회 파견 판사를 통해 서 의원으로부터 지인 아들 사건과 관련한 청탁을 받아 담당 판사에게 선처를 요구했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검찰은 “죄명을 변경하고 벌금형으로 선처해 달라”는 청탁이었다고 설명했다. 검찰이 지목한 사건은 총선 연락사무소장을 맡았던 지인 아들의 강제추행미수 사건이다. 국회 파견 판사가 국회의원의 민원 창구였다는 얘기다.

반면 서 의원은 “국회 파견 판사를 만난 기억이 없다”며 “만났다 해도 억울한 사연을 전달했을 뿐, 문제될 내용은 없었을 것”이라고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이어 “죄명을 바꿔 달라거나 벌금을 깎아 달라고 한 적도 없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임 전 차장의 공소장에는 국회 파견 판사가 서 의원한테 청탁 내용을 듣고 이를 임 전 차장에게 이메일로 보고했다고 적혀 있다.

이해찬 민주당 대표는 이날 “파장이 길어지면 당에 이로울 게 없으니 빨리 상황을 파악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당 사무처가 진상조사에 나섰다.

김판 김성훈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