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신공항 강행 반대” 정부에 각 세운 부울경 단체장들

입력 2019-01-17 04:03
김경수(왼쪽부터) 경남도지사와 송철호 울산시장, 오거돈 부산시장이 16일 울산시청에서 김해신공항 기본계획 검증단의 검증결과 보고회 직후 김해신공항 건설에 반대한다는 공동입장문을 발표하고 있다. 울산시 제공

“24시간 안전한 동남권 관문공항을 제대로 건설하는 것이 대한민국 백년의 미래이자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시급하고 중대한 과제라는데 인식을 같이 한다.”

부산·울산·경남의 단체장들이 16일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김해신공항 건설에 반발하며 중앙정부와 각을 세웠다. 이들 단체장들은 그동안 “안전 문제와 소음 영향, 향후 확장성 등에 문제가 있는 김해신공항은 24시간 안전한 관문공항 역할을 할 수 없다”며 대안을 요구해왔다.

하지만 정부는 김해신공항 기본계획을 그대로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국토부는 전날 당초 계획대로 김해신공항 기본계획을 상반기 중 고시하겠다고 밝혔다. 연말까지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마친 뒤 2019~2020년 설계, 2021년 착공, 2026년 개항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반발한 부·울·경 단체장들은 이날 울산시청에서 경남 김해(김정호·민홍철)와 부산(박재호)의 지역구 국회의원들과 함께 ‘부울경 시도지사·검증단 검증결과 보고회’를 연 뒤 공동 입장문을 냈다. 이들은 “김해신공항 기본계획을 전면 백지화하고 제대로 된 동남권 관문공항으로 정책 변경을 국토부장관에게 요구한다”고 밝혔다.

국토부의 김해신공항 추진계획은 기존 공항의 확장에 불과하며, 동남권 관문공항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이들은 당초 국토부와의 합의했던 검증기준에 비춰볼 때 김해신공항은 안전과 소음, 확장성 등 동남권 관문공항 최소요건 중 어느 것 하나도 충족하지 못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신공항 건설지역을 놓고 부산·경남지역과 갈등을 빚었던 경북도 가덕도 신공항에 대해 ‘조건부 찬성’ 입장으로 선회하며 힘을 보태고 있다. 대구·경북 상생 차원으로 이날 대구시청을 찾은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대구공항 통합이전이 먼저 된다면 가덕도 신공항 추진도 반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그동안 대구·경북이 가덕도 신공항을 반대한 것은 대구공항 통합이전 무산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며 “대구공항 통합이전부터 추진한다면 굳이 대구·경북이 반대할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공항문제 해결을 위해 부산과 경남을 포함한 영남권 5개 광역단체장 회동을 일부 단체장에게 제안했다는 얘기도 했다.

부·울·경 단체장은 물론 경북지사까지 조건부 찬성 입장을 밝히면서 김해신공항을 둘러싼 양상이 다소 달라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동남권 신공항 건설에 대해 동남권 5곳의 광역단체장 모두가 한목소리를 낸다면 정부의 기류에도 변화 가능성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영남권 신공항 논쟁은 2006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검토를 지시하면서 시작됐고 당시 영남권 5개 시·도는 가덕도와 밀양 건설을 주장하는 측으로 나뉘어 갈등을 빚었다. 박근혜정부가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것으로 결론을 냈지만 지난해 지방선거 과정에서 오거돈 부산시장이 가덕도 신공항 재추진을 내세우며 다시 이슈가 됐다.

울산·대구=조원일 최일영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