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가 농업 분야의 청년 고용에 한층 더 주력한다. 영농 창업과 고용지원 확대 정책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 귀농·귀촌을 유도할 계획이다. 귀농인들이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는 주거 분야 지원도 병행한다. 또 ‘귀농 트렌드’의 바통을 이어가면서 청년 일자리를 확충한다는 복안이다.
실제 전반적인 고용 상황이 저조했던 지난해의 경우 농림어업 분야 고용은 호조세를 보였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농림어업 분야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6만1600명 늘었다. 2017년에 전년 대비 6000명 늘어나는 데 그친 것과 비교하면 10배 이상 증가했다.
원인으로는 크게 세 가지가 꼽힌다. 우선 사회적 경향이다. ‘인생 2모작’을 추구하는 장년층의 귀농뿐 아니라 청년층의 귀농·귀촌도 대폭 늘었다. 1만명 이상의 청년이 농촌으로 향했다. 직업으로서 비전이 있다는 인식이 작용했다. 농식품부가 귀농자를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만 39세 이하 청년 응답자의 23.1%가 귀농 사유로 ‘농업 비전’을 꼽았다.
농업의 구조적 변화도 농촌 일자리를 늘리는 요인 가운데 하나다. 농업법인이 증가하면서 상용근로자를 고용하는 사례가 늘었다. 2017년 기준으로 등록된 농업회사법인 수는 5년 전과 비교해 177%나 뛰었다. 지난해 자영업자의 몰락 속에서도 농업 분야의 경우 유독 ‘고용 있는 자영업’이 1만명 이상 증가했다.
정책도 뒷받침했다. 청년에 초점을 맞춘 영농정착지원금이 대표적 사례다. 농식품부는 지난해부터 만 39세 이하 청년에게 월 100만원씩 최장 3년간 정착지원금을 지급하기 시작했다. 올해도 1600명을 신규로 뽑아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다.
올해도 이 추세가 이어지도록 청년이 원하는 분야 지원을 새로 추진한다. 일단 새로운 직업이 늘어난다. 동물간호복지사, 산림레포츠지도사, 양곡관리사, 가축방역위생관리업을 도입한다. 자격을 갖춘 청년에게 정부 주도로 채용을 지원하겠다는 복안을 세웠다.
청년층의 관심이 높은 ‘스마트팜’ 관련 지원도 확대한다. 올해 청년 창업보육생을 100명 선발해 전문 교육을 실시한다. 농사를 지을 부지가 없는 청년들에게는 임대형 스마트팜을 조성해준다. 올해부터 2021년까지 모두 24㏊ 규모를 할애해줄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확대책 역시 귀농한 청년층의 수익 확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농식품부는 상반기 중 ‘주민 참여형 태양광 모델’을 만든다. 농촌지역 주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재생에너지 사업을 만들겠다는 복안이다.
주거 지원책도 병행한다. 농식품부는 2020년까지 전국 4개 지역에 ‘청년을 위한 농촌보금자리’를 조성한다. 지역당 30가구 정도 임대주택을 보급할 계획이다. 공동보육시설과 문화시설을 갖춰 젊은층에게 친화적인 공간을 만든다는 단서도 달았다. 관리비와 운영비 수준만 내면 누구나 입주 가능하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귀농·귀촌하는 사람 10명 가운데 3명이 주거 문제 지원이 필요하다고 한 점에 착안해 지원을 늘리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
농업 분야 고용 호조세… 올해 청년 농업인 지원책 더 는다
입력 2019-01-16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