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카풀(승차공유) 시범서비스를 잠정 중단했다. 카풀 도입을 결사반대해온 택시단체가 ‘서비스 중단 없이는 대화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자 한 발 물러선 것이다.
카풀 서비스를 둘러싼 택시업계와 카카오 간 갈등이 해소될 수 있는 돌파구가 마련됨에 따라 대화를 통한 사회적 대타협이 성사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카카오의 교통 분야 자회사 카카오모빌리티는 15일 “카풀 시범서비스를 중단한다”며 “택시업계와의 협력과 사회적 합의를 우선으로 원만한 소통의 장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택시업계를 상대로 정부·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하고 있는 카풀 관련 사회적 대타협 기구에 참여해 달라고 요구한 것이다.
카카오는 카풀 서비스 전면 중단 가능성까지 내비쳤다. 카카오는 “대화에는 어떤 전제도 없고, 카풀 서비스 출시를 백지화할 수도 있다”며 “택시업계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이동의 혁신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카카오와 택시단체는 지난해 10월부터 카풀 서비스 도입을 놓고 강경하게 대치해 왔다. 카카오는 택시의 승차거부나 불친절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선 새로운 카풀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지만 택시업계는 카풀이 택시사업을 고사시킬 것이라며 반발했다. 이 과정에서 택시기사 2명이 ‘카풀 반대’를 외치며 분신하면서 갈등이 증폭됐다.
당정은 사회적 대타협 기구를 구성해 논의하자며 중재에 나섰다. 하지만 택시단체가 대타협 기구 참여 조건으로 카풀 시범서비스 중단을 내걸면서 제동이 걸렸다. 카카오는 ‘시범서비스를 계속해야 카풀과 택시가 공존할 수 있다는 게 입증될 것’이라며 시범서비스를 강행한다는 입장이었다.
하지만 택시단체가 대정부 투쟁으로 압박하는 등 갈등이 극한까지 치닫자 카카오가 먼저 손을 내밀었다. 카카오와 택시단체가 카카오모빌리티의 최대 플랫폼 ‘카카오택시’의 공생관계라는 점이 고려됐다.
다만 카카오 의도대로 택시단체가 사회적 대타협 기구에 참여할지는 미지수다. 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 관계자는 “카풀 서비스가 완전히 중단된다는 보장이 없다”며 “사회적 대타협 여부는 심사숙고해 결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택시·카풀 태스크포스(TF)는 대승적 결단을 내린 카카오모빌리티를 높이 평가하면서 택시업계에 사회적 대타협 기구 참여를 촉구했다. TF 위원장인 전현희 의원은 “택시업계가 그동안 전제조건으로 제시했던 카풀 서비스 중단이 현실화된 만큼 택시업계도 이번 주말까지 참여 입장을 밝혀 달라”면서 “다음 주 월요일(21일)부터는 사회적 대타협 기구를 출범해 택시업계 발전 방안을 포함한 모든 논의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오주환 김성훈 기자 johnny@kmib.co.kr
카카오 “카풀 백지화도 고려”… 시범 서비스 잠정 중단
입력 2019-01-15 19:10 수정 2019-01-15 2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