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1월 중 매듭지어질 것인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달 6일 성사 직전 ‘임단협 5년 유예조항’을 둘러싼 이견으로 교착 상태에 빠졌으나 정부·여당이 새해 벽두부터 협상재개 기류를 이끌고 있기 때문이다.
광주시는 “문재인 대통령과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각각 지난 10일과 13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광주형 일자리의 중요성을 잇따라 언급하면서 현대차와의 재협상이 탄력을 받고 있다”고 15일 밝혔다. 문 대통령은 지난 2일 신년회에 이어 정부의 전폭 지원을 다시 공개적으로 약속했고, 이 대표는 이달 말까지 광주형 일자리가 마무리될 것이라고 낙관했다.
광주시는 현대차와의 물밑 접촉에서 완성차공장 합작법인 설립에 관한 이견을 좁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임단협 5년 유예조항에 반대해온 광주지역 노동계와 만나 설득작업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2019년을 ‘노사 상생도시’ 원년으로 선포한 시는 기아차 노조위원장 출신인 박병규 전 경제부시장을 사회연대일자리 특보로 임명하고 향후 노동협력관도 신설해 노동계 의견을 반영하기로 했다.
현대차 담당 임원이 다른 업무에서는 손을 떼고 광주형 일자리에만 전념하도록 조직을 개편했다. 현대차의 서울 강남 신사옥 글로벌비즈니스센터 건립사업이 국토교통부 수도권정비위 심의를 통과한 점도 청신호로 작용하고 있다.
광주시와 현대차가 협상팀을 재정비하고 재협상 모드에 돌입함에 따라 1월이 광주형 일자리 성사의 최대 고비가 될 전망이다. 시 관계자는 “광주에서 첫 결실을 맺고 전북 군산 등에서도 노사상생형 일자리가 확산되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광주형 일자리 협상’ 이달 내 타결 되나
입력 2019-01-15 2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