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가 뒷談] 국토부·행안부·해수부·문체부 ‘장관 교체說’ 솔솔

입력 2019-01-15 04:05

이달 중 진행될 예정이었던 정부 부처의 신년 대통령 업무보고 계획이 미뤄지면서 일부 부처를 중심으로 ‘장관 교체설’에 힘이 실리고 있다. 장관 교체를 마무리한 뒤 새로운 수장을 중심으로 업무보고를 하기 위한 절차라는 것이다.

14일 정부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은 속도감 있는 정책 집행을 강조하며 지난해 장관 교체가 이뤄진 부처를 중심으로 신년 업무보고를 앞당겨 받았다. 고용노동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농림축산식품부 등 7개 부처는 지난해 말 2019년도 업무보고를 진행했다.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부처 수장이 바뀌지 않은 나머지 1기 내각 부처와 지난해 말 장관이 교체된 기획재정부는 이달이나 다음 달 중 업무보고를 마쳐야 한다.

당초 청와대는 이달 중하순에 부처 업무보고를 추진하려고 했다. 국토교통부의 경우 1월 하순에 예정됐다. 이에 국토부는 부서별로 보고할 내용을 취합해 미리 자료를 만들어놓은 상태다.

그러나 업무보고 일정이 미뤄지면서 부처 안팎에서는 ‘장관 교체설’에 무게가 쏠리고 있다. 지난해 장관 교체 부처를 중심으로 업무보고를 했던 것처럼 나머지 부처도 ‘선 장관 임명, 후 업무보고’로 진행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국토부 안팎에서는 새 장관 후보자 2~3명이 청와대 검증 시스템에 올라 평가받고 있다는 소식까지 전해진다.

행정안전부와 해양수산부, 문화체육관광부도 비슷한 상황이다. 국회의원을 겸직하고 있는 이들 부처 장관은 총선에 앞서 교체 1순위로 거론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의원 겸직 장관들은 보통 2020년 총선을 대비해 1년 정도는 지역구 활동을 하며 준비한다. 총선을 앞두고 장관 물갈이가 완료돼야만 부처별 업무보고 일정도 확정될 것 같다”고 말했다.

세종=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