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재계와 대화하는 文 대통령, 문제의 답은 경청에 있다

입력 2019-01-15 04:03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청와대에서 재계의 의견을 듣는다. 현 정부 최대 과제인 경제 살리기의 하나다. ‘2019 기업인과의 대화’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 수석부회장, 최태원 SK 회장, 구광모 LG 회장을 비롯한 대기업 대표 22명, 중견기업인 39명 등 130여명의 기업인이 참석한다. 지난 7일 중소·벤처기업인과의 대화에 이은 올 들어 두 번째 대통령과 경제인 만남이다. 그만큼 일자리 문제가 심각하다는 방증이다.

고용 사정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데다 청년실업은 도무지 해법이 보이지 않는다. 설상가상 올해 경기 전망마저 잿빛투성이다. 일자리는 대부분 기업에서 만들어진다. 대규모 재정이 투입되는 공공부문 일자리는 민간부문에 비하면 새 발의 피다.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야 투자가 늘고, 일자리도 더 생긴다. 기업이 소득주도성장에 부담감을 느끼고 있는 건 부인하기 어려운 사실이다.

정부 정책만 고집해서는 기업 투자를 유도하는 데 한계가 있다. 문 대통령이 오늘 대화에서 정부의 경제정책을 관철하기보다는 재계의 애로를 경청할 때 비로소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재계는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이끌어내도록 규제 완화 등 기업에 꼭 필요한 요구사항을 가감 없이 전달해야 한다. 정부가 알아서 해줄 거라고 기대해서는 백년하청이다.

문 대통령은 다음 달 민주노총과의 만남도 추진 중이라고 한다. 형평성 차원에서라도 노동계 의견을 듣는 건 바람직하다. 다만 우려스러운 것은 노동계와의 대화가 자칫 민주노총의 강경투쟁 노선에 면죄부를 주고 오히려 힘을 실어주는 계기로 작동하지 않을까 하는 점이다. 민주노총은 경제사정이 좋든 말든 집단이익을 위해서라면 대규모 파업도 서슴지 않는다. 이런 투쟁일변도 노선으로는 국민적 공감대를 얻기 어렵다. 지금 노동계에 필요한 건 이보 전진을 위해 일보 후퇴하는 전략적 사고다. 문 대통령이 노동계의 부당한 요구를 단칼에 끊는 단호함을 보여야 가능하다. 야당과의 소통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 소통의 폭을 넓힐수록, 더 많은 얘기를 들을수록 저항을 최소화하고 공통분모 찾는 게 수월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