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에 쫓겨… 부동산·교육분야는 질문도 못했다

입력 2019-01-10 19:07

문재인 대통령의 10일 신년 기자회견은 지난해처럼 대통령이 직접 질문자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활기찬 분위기였지만 교육 등 주요 정책 현안에 대한 질문을 충분히 할 수 없었고, 외신과 경제지 기자 위주로 질문자가 몰리는 등 부작용도 나타났다.

문 대통령은 회견에서 외교·안보, 경제·민생, 정치·사회 등 3개 분야 24개의 질문에 답했다. 외교·안보 질문이 11개로 가장 많았다. 대북 제재 관련 질문이 3건, 종전선언과 주한미군 전략자산 운용 문제 질문도 각각 2건씩 나왔다. 기자회견 모두발언의 90%를 채웠던 경제 분야에 관해서는 현안별로 고르게 질문이 이어졌다. 총 8개의 질문 가운데 고용지표 악화와 최저임금 산입범위 확대, 규제 샌드박스 관련 질문이 1건씩 있었다. 지방언론을 중심으로 2건의 지방경제 활성화 방안 질문도 나왔다.

김태우 전 청와대 특별감찰반원과 신재민 전 기획재정부 사무관의 폭로와 관련해서 많은 관심이 쏠렸던 정치·사회 분야 질문은 5개에 그쳤다. 국정지지도 하락, 젠더, 광주형 일자리, 언론과 권력의 관계 문제가 1건씩 나왔다. 문 대통령은 김태우·신재민 관련 질문이 나오자 6~7초간 생각에 잠기기도 했다.

시간에 쫓겨 부동산이나 교육 문제 등 다른 중요 이슈에 관한 질의응답은 이뤄지지 않았다. 질문 기회를 얻기 위한 기자들의 경쟁도 치열했다. 책이나 휴대전화를 흔들거나, 눈에 띄려고 한복을 입고 온 기자도 있었다.

질문자의 매체별 편중도 2년 연속 이어졌다. 국내언론기자 128명, 외신기자 52명 등 180명이 회견에 참석했고, 이 중 22명이 질문 기회를 얻었다. 질문자를 매체별로 따져보면 외신이 5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제지 4명, 인터넷 3명, 통신사·종합편성채널·지방지 2명, 지상파방송·지역방송·중앙일간지·라디오 1명 순이었다. 지난해에는 지방언론이 6명으로 가장 많았는데 비슷한 편중 현상이 또 나타난 것이다. 이 때문에 사전에 의제를 분야별로 조율하거나 형평성을 위해 매체별로 질문 인원을 정해놓을 필요성이 제기된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