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이 7~9일 무역전쟁 종결을 위한 차관급 무역협상에서 일부 진전을 이뤘지만 지식재산권과 기술 강제이전, 정부 보조금 지급 등 핵심 쟁점에서 이견을 해소하지 못했다. 양국은 이달 말 협상 대표인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류허 중국 부총리의 회동을 통해 관련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미·중 양국의 성명에선 극명한 온도 차가 드러났다. USTR은 9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이번 협상에서는 중국이 상당한 농산물, 에너지, 제조상품, 기타 제품 및 서비스 등을 구매하겠다는 약속에 중점을 뒀다”고 밝혔다. 특히 “무역협상은 강제 기술이전, 지식재산권 보호, 비관세 장벽, 사이버 침입 및 영업비밀 절도와 관련된 (중국의) 구조적인 변화를 얻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 상무부는 10일 간략한 성명을 통해 “협상은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상호 관심사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양측은 긴밀하게 연락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가오펑 상무부 대변인은 오후 브리핑에서 지식재산권과 기술 강제이전, 비관세 장벽 등이 협상 의제였냐는 질문에 “구조적 변화 문제는 이번 협상의 중요한 부분”이라며 “이 영역에서 진전이 있었다”고 말했다. 무역협상이 미국이 중국을 압박하면서 양보를 끌어내는 구도로 전개되는 만큼 상무부는 자칫 굴욕적으로 보일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다소 모호한 입장을 밝힌 것으로 보인다.
이번 협상은 미·중 정상이 90일간의 무역전쟁 휴전에 합의한 이후 처음 만들어진 자리였다. 그런 만큼 양국 모두 이번 협상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가급적 판을 엎지 않으려는 모습을 보였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
美·中 무역협상 일부 진전… 핵심 쟁점 이견 여전
입력 2019-01-10 19:01 수정 2019-01-10 2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