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0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청와대 특별감찰반원이던 김태우 검찰 수사관의 폭로와 현직 언론인의 청와대 직행 문제에 대해 도덕적 문제가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김 수사관의 폭로와 관련해 “청와대 특감반(현 공직감찰반)은 대통령과 주변 특수관계자, 고위공직자의 권력형 비리를 감시한다”며 “이들의 권력형 비리 때문에 국민에게 준 상처가 얼마나 컸나. 앞의 두 정부 대통령과 주변도 그런 일로 재판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 행정관(수사관)이 제기한 문제는 자신이 한 행위이며, 이를 놓고 시비가 벌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김 행정관이 한 감찰 행위가 직분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냐는 게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고, 수사 대상이 되고 있기 때문에 (검찰 수사에서) 가려지게 될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의 이런 인식은 특감반 논란이 김 수사관 개인의 일탈로 빚어진 문제라는 인식으로, 자칫 ‘수사 가이드라인’이 될 수도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문 대통령은 현직 언론인을 청와대 참모로 임명한 데 대해선 “현직 언론인이 이렇게 청와대에 바로 오는 게 괜찮냐고 비판한다면 달게 받을 수밖에 없다”면서도 “권력에 야합하는 분들이 아니라 언론 영역에서 공공성을 살려온 분들이 청와대에서 공공성을 잘 지킬 수 있게 해준다면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과거처럼 권언유착을 강화하기 위해 언론인을 (청와대로) 데려오는 것은 좋지 않다고 생각하고, 저도 비판한 바 있다”며 “그런 권언유착 관계가 지금 정부는 전혀 없다고 자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과거 정부는 권언유착으로 언론인을 영입했지만 문재인정부는 그런 취지가 아니기 때문에 괜찮다는 논리다. 현 청와대에는 비서관급 이상으로만 6명의 언론인 출신이 근무하고 있다. 윤도한 국민소통수석과 김의겸 대변인, 여현호 국정홍보비서관, 조용우 국정기록비서관, 최우규 연설기획비서관, 정혜승 디지털소통센터장이 전직 기자들이다.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임명으로 불거진 ‘친문(친문재인) 체제’ 강화 비판에 대해선 “청와대는 다 대통령의 비서이기 때문에 친문이 아닌 사람이 없다”며 “더 친문으로 바뀌었다고 한다면 임종석 전 비서실장이 크게 섭섭해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노 실장과 강기정 정무수석은 3선 의원도 거쳤고, 다음 총선에 출마하지 않고 오로지 정부의 성공을 위해 헌신하겠다는 뜻을 밝혔다”며 “여당은 물론 야당과의 대화도 활발하게 하고 싶다는 뜻이다. 정무적 기능 강화로 봐 달라”고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남녀 간 젠더(성) 갈등이 심각하다는 지적에 대해 “그런 갈등을 잘 알고 있다”며 “특별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사회가 바뀌는 과정에서 발생한 갈등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 갈등을 겪으면서 사회가 성숙한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며 “그 갈등 때문에 (내) 지지도가 낮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20대 남성들의 지지율이 낮다면 그건 (그들에게) 희망을 못 주고 있다는 관점 때문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한국에서 여성의 고위직 진출이 낮다’는 외신 여기자의 지적에는 “부끄러운 부분”이라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기자회견 모두발언에서는 유치원 3법(유아교육법·사립학교법·학교급식법)의 조속한 국회 통과를 요청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언론인 靑 직행 비판에… “권언유착 아닌 공공성 강화 차원 영입”
입력 2019-01-11 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