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관가야 추정 왕궁터에서 지금까지 발견된 적 없는 새로운 형태의 집 모양 토기(사진)가 발굴됐다.
문화재청 산하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소장 김삼기)는 2015년부터 발굴조사 중인 경남 김해 봉황동유적(사적 제2호)의 4세기 말~5세기 초의 건물지 주변에서 이 토기가 발견됐다고 9일 밝혔다.
이 집 모양 토기는 정면은 평평하지만 뒤쪽 벽체가 반원형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정면에는 네모꼴 출입구가 설치돼 있다. 출입구는 여닫이문이 열려 있는 형태로, 출입구 아래에는 받침대가 놓여 있고, 벽체의 한쪽 면에는 원형 봉창(환기창)을 설치했다. 지붕 모양은 앞쪽은 책을 엎어 놓은 형태인 맞배지붕이고, 뒤로 갈수록 경사져 내려가며 둥근 형태를 이룬다.
지금까지 국내에 알려진 삼국시대 집 모양 토기 대부분은 고상식(高床式·기둥 위에 집을 만듦)의 맞배지붕 구조였다.
중국 사서인 ‘삼국지’ 동이전(東夷傳)에는 삼한의 가옥을 ‘거처는 초가집과 흙방으로 짓는데, 모양이 무덤과 같으며 그 문이 위에 있다’고 표현돼 있다. 출토된 집 모양 토기는 이 문헌 사료와 유사하다.
문화재청은 “이처럼 지붕 모양과 벽체를 가진 지면식(地面式) 구조는 처음 확인된 사례”라며 “가야의 생활사와 건축사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손영옥 미술·문화재전문기자
금관가야 추정 왕궁터에서 새로운 형태 집 모양 토기 발굴
입력 2019-01-09 2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