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제2공항 건설 대립 격화… 물리적 충돌에 고소고발도

입력 2019-01-09 20:57
제주 제2공항 건설에 반대하며 제주도청 앞에서 농성하고 있는 서귀포시 성산읍 주민 김경배씨의 단식이 22일째로 접어든 9일 고병수 탑동365일의원 원장이 김씨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있다. 뉴시스

제주 제2공항 건설문제를 둘러싼 갈등이 확산되고 있다. 이틀 전 행정대집행 과정에서의 충돌 여운이 채 가시지 않은 9일에도 제주도청 앞 인도에 설치된 텐트와 천막에서는 기자회견과 시위가 이어졌다. 농성자들은 이날 도청 앞 기자회견에서 “이유를 불문하고 목숨을 건 도민이 여기 있다”며 원희룡 제주지사에게 공개면담 수용을 촉구했다.

앞서 제주시는 제2공항 건설 전면 재검토를 촉구하며 단식농성에 돌입한 서귀포시 성산읍 주민 김경배(50)씨와 이를 지지하는 시민들이 제주도청 앞 인도에 설치했던 텐트·천막 3동에 대해 지난 7일 행정대집행을 강행했다. 하지만 반나절도 지나지 않아 같은 장소에 다시 농성 텐트와 천막이 들어섰다. 이 과정에서 시민과 공무원 간에 고성이 오가고 몸싸움이 일어나는 등 충돌이 빚어졌고, 원 지사가 탄 차량 앞을 농성자들이 가로막는 소동도 있었다.

제주녹색당은 전날 원희룡 제주지사와 고희범 제주시장, 강제철거 현장 지휘 공무원 등을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고소했다. 제주도 역시 도청 현관 계단을 무단으로 점거해 농성해 온 10여명에 대해 공공청사 무단 점거와 공무집행방해, 불법 시위 및 불법 홍보물 부착 등을 이유로 고소했다.

농성자들과 제2공항반대범도민행동은 국토부가 추진하는 ‘제2공항 기본계획 수립용역’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이들은 “국토부가 일방적으로 제2공항 검토위원회를 종료시켜 사전타당성 검증을 조직적으로 방해했다”고 주장했다.

갈등이 점점 확산되자 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나온다. 진실과 정의를 위한 제주교수네트워크는 “국토부가 사전타당성 용역에 하자가 없다고 판단했더라도 주민을 설득하는 과정과 절차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도 “제2공항은 도민갈등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며 국토부에 검토위원회 활동기한 2개월 연장 등을 요청했다.

국토부는 지난해 7월부터 ‘제주 제2공항 입지선정 타당성 재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진행했다. 국토부와 성산읍반대위는 사전타당성 재조사를 검증하는 ‘제2공항 타당성 용역 재조사 검토위원회’를 구성, 지난해 12월 중순까지 운영했지만 권고안 마련에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활동을 종료했다. 국토부는 이후 제2공항 건설사업에 대한 행정절차에 돌입해 지난달 28일 제2공항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했고, 내년 실시설계 용역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제주 제2공항은 2025년까지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 496만㎡부지에 사업비 4조8734억원을 투입해 활주로 길이 3200m 규모로 건설될 예정다. 수송인원은 연간 2500만명이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