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强性 왕실장’… 더욱 세진 靑으로 고강도 쇄신 특명

입력 2019-01-08 19:14 수정 2019-01-08 21:58
임종석(왼쪽) 대통령 비서실장이 8일 청와대에서 후임 비서실장으로 임명된 노영민 주중대사를 소개하고 있다. 노 신임 실장은 “실장이 됐든 수석이 됐든 비서일 뿐이다. 그것을 잊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병주 기자

노영민(62) 신임 대통령 비서실장은 대표적인 강성 의원으로 분류된다. 논리적이지만 자기주장을 관철시키려는 성향이 강하다는 게 주변의 일관된 평가다. 노 실장의 부임으로 청와대는 물론 각 부처에도 국정과제 수행을 위한 고강도 드라이브가 예고되고 있다.

국회에 끼칠 영향도 주목된다. 문재인 대통령의 복심인 만큼 야권과의 협상 영향력은 크겠지만 청와대 의견을 관철하려 할 경우 강한 반발을 살 수도 있다. 과거 의원실 시집 강매 등 ‘흑역사’도 없지 않아 도덕성을 생명으로 한 정부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노 실장과 같이 지난 대선 캠프에서 일했던 한 인사는 8일 “노 실장은 누구보다 논리적이고, 현안 대응도 굉장히 신속하게 하는 편”이라며 “반면 자신의 주장을 끝까지 관철시키려는 경향이 커 상대하기가 쉽지는 않은 사람”이라고 평가했다. 의원 시절 같은 상임위에서 활동했던 자유한국당 중진 의원도 “협상력이 그렇게 좋은 편이 아니고 사고 자체가 강성”이라며 “야당과의 교류는 썩 원활할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내다봤다.

청와대도 이런 평가를 반영해 노 실장이 통상, 외교,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정통한 인사라며 강성 이미지를 희석시키는 데 주력했다. 전임자인 임종석 비서실장은 임명 발표 기자회견에서 노 실장의 경제·산업계 경력을 일일이 거론했다. 그러면서 “노 실장은 각계 현장과의 풍부한 네트워크 및 소통 능력이 강점”이라며 “기업과 민생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최고의 적임자”라고 치켜세웠다.

노 실장은 1995년 민주개혁국민연합 충북연대 공동대표 출신이다. 2004년 17대 국회에서 당선된 뒤 당 사무부총장과 원내대변인, 정책위 부의장 등을 지냈다. 19대 국회에서 산업통상자원위원장을 맡으며 경제 분야에 많은 관심을 쏟았다.

재선 의원 시절부터 반도체를 비롯한 IT 사업에 대한 과감한 정부 지원을 주장했다. ‘금강전기’라는 중소기업을 창업한 경험이 있고, 노무현정부 때는 여당 의원으로는 이례적으로 아파트 분양원가 공개에 반대 목소리를 냈다. 이로 인해 ‘시장을 잘 아는 운동권’으로 분류되기도 했다.

특히 반도체산업에 관심이 커 2008년에는 ‘반도체의 날’ 제정을 제안했다. 중국 반도체 굴기에 맞서 2014년 반도체 장비 관세 감면 연장 법안을 발의하고 2015년 반도체 연구·개발(R&D) 사업인 전자정보디바이스사업 예산 확대를 주도했다. 주중대사 부임 후에도 반도체 사업에 대한 중국의 ‘사드 보복’ 해소를 요청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노 실장이 정책 추진에 있어서는 강성 이미지이지만 실제로는 경제 분야에 해박한 인사”라며 “정부 최대 난제인 혁신성장을 주도할 수 있는 적임자로 본다”고 말했다.

노 실장은 2015년 의원실에 카드단말기를 설치하고 자신의 시집을 피감기관에 판매한 사실이 드러나 당원 자격정지 6개월 징계를 받고 20대 총선에 불출마했다. 최근 청와대 직원들의 기강 해이 사례가 잇따르는 상황에서 청와대가 노 실장 임명으로 다시 공격당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문희상 국회의장은 이날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주최 토론회에서 “집권 3년차인 지금은 전문성을 가진 사람을 써야 한다. 지금까지는 ‘코드인사’라는 말에 변명할 여지가 있었지만 이제는 끝내야 할 시기”라고 지적했다.

△충북 청주 △연세대 경영학과 △17, 18, 19대 국회의원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장 △주중대사

강준구 박세환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