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지자체와 정부가 폐쇄된 한국지엠 군산공장을 활용한 ‘전북 군산형 일자리’ 사업을 위한 협의를 긴밀히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소기업 지원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광주형 일자리’의 2탄 격인 셈이다.
8일 전북도에 따르면 송하진 도지사는 전날 열린 기자회견에서 “오는 봄부터 ‘전북 군산형 일자리’ 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며 “산업자원부와 현재 다양한 논의가 진행중이다”고 밝혔다.
송 지사는 “한국지엠 군산공장의 시설과 숙련된 노동자를 활용한 ‘전북 군산형 일자리’를 추진해 새로운 일자리 성공모델로 만들어가겠다”며 “부지가 확보돼 있는 등 공간적 여건이 갖춰져 있고 방법론에 있어서도 광주형보다 행정과 업체·노동자 등 3자 합의가 더욱 수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군산공장을 활용한 일자리 창출의 틀을 만드는 작업을 정부와 다각도로 논의중”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군산이 지역구인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지난해 11월 바른미래당과전라북도의 예산정책협의회에서 “올 초부터 청와대에 ‘광주형 일자리’가 어느 정도 실현되면 제2의 광주형 일자리를 군산에 만들자고 협의해 왔다”고 말해 정부와의 조율을 알린 바 있다.
같은 달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광주형 일자리는 거의 매듭짓는 단계고, 그 다음으로 군산형 일자리를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전북도와 군산시는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와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조업 중단으로 일자리를 잃은 주민들을 위해 ‘군산형 일자리’ 사업을 서둘러 추진해달라고 목소리를 높여 왔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지자체·정부, 한국지엠 군산공장 활용안 긴밀 논의
입력 2019-01-08 1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