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8일 청와대 핵심 참모를 교체했다. 비서실장에 노영민 주중대사, 정무수석과 국민소통수석에 강기정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윤도한 전 문화방송(MBC) 논설위원을 각각 임명했다. 노 비서실장과 강 정무수석은 친문(親文) 핵심으로 꼽히는 인사들이다. 문 대통령의 국정철학과 의중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다는 평을 듣는다. 다선 의원 출신으로 국회 경험도 풍부해 청와대와 국회 간 소통의 가교 역할에 대한 기대도 크다. 집권 중반기로 접어드는 시점에 청와대 참모진을 친정체제로 구축해 국정 장악력을 높임으로써 구체적인 성과를 내겠다는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된 인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번 인사는 문 대통령의 협소한 인재 풀을 다시 확인시켜준 인사이기도 하다. 노 실장은 의원 시절 피감기관에 시집을 강매해 갑질 논란에 휩싸였고, 강 수석은 여러 차례 폭행과 공무집행 방해로 물의를 빚어 지난 총선에 불출마했다. 도덕성에 흠집이 난 인사들을 중용한 것은 오만이자 독선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문재인정부 앞에는 엄중한 과제들이 놓여 있다. 무엇보다 악화일로인 경제를 회복시키고 민생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게 시급하다. 북한 비핵화에 돌파구를 마련해 한반도 평화의 기틀을 다지는 일도 중요하다. 검찰·사법 개혁, 선거제도 개혁, 각종 민생·개혁 입법도 성사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청와대가 독선, 불통에서 벗어나 정부·국회·민간과의 소통을 강화해야 한다. 여당은 물론 야당에도 국정 현안을 충분히 설명하고, 끈기 있게 설득해 이견을 좁혀가는 노력이 절실하다. 청와대에 잔뜩 쏠려 있는 힘도 분산시켜야 한다. 청와대가 국정 전반을 틀어쥐고 사사건건 지시하니 정부부처가 청와대 눈치만 보고 공무원들은 복지부동하는 것 아닌가. ‘청와대 정부’ ‘만사청(靑)통’이란 말이 더 이상 나오지 않아야 한다.
새 참모진은 대통령에게 시중의 다양한 의견을 가감 없이 전달하고 직언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대통령이 듣고 싶은 말만 해서는 희망이 없다. 노 비서실장은 임명 직후 “어떤 주제든, 누구든, 어떤 정책이든 가리지 않고 경청하겠다”고 했다. 자성과 소통 노력 없이는 국정 성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걸 명심하길 바란다.
[사설] 2기 청와대… 萬事靑通이란 말 나오지 않기를
입력 2019-01-09 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