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승섭 해군참모총장이 7일 이른바 ‘레이더 조준’ 갈등과 관련해 “모든 제대는 외국 함정, 항공기 조우 등 해양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떠한 우발 상황에도 작전예규와 규정, 국제법에 따라 즉각적으로 대응해 현장에서 작전이 종결되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지난달 20일 광개토대왕함을 투입한 북한 어선 구조 작전 당시 일본 항공기 근접비행과 같은 상황이 또 발생할 경우 엄정하게 대응하라는 주문이다.
심 총장은 광개토대왕함 소속 부대인 강원도 동해 1함대사령부 지휘통제실에서 지휘관들에게 “여러 가지 상황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도록 역량을 구비해 작전의 완전성을 보장해야 한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이는 구조작전 당시 광개토대왕함 150m 상공으로 위협적인 비행을 한 일본 해상자위대 P-1 초계기에 경고 통신을 하지 않은 데 대한 질책성 발언으로도 해석됐다. 피아(彼我) 식별뿐 아니라 우발적 충돌 방지를 위한 통신 조치 등을 밟았어야 했다는 의미다.
심 총장은 또 “필요할 때는 한 치의 주저함 없이 단호하게 대응하여 해양주권을 사수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우리 군 본연의 임무를 반드시 완수해 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해군 관계자는 “구조작전에 대한 질책을 하기보다는 향후 여러 우발 상황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한·일 양국의 레이더 갈등은 좀처럼 돌파구를 찾지 못한 채 여론전만 가열되고 있다. 이와야 다케시 일본 방위상은 이날 P-1 초계기가 적절하게 경계·감시 활동을 했다는 주장을 거듭했다. 이와야 방위상은 여당인 자민당에서 열린 긴급 당 국방부회(위원회) 및 안보조사회 합동회의에서 “자위대기가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에서 적절하게 경계·감시 활동을 한 것은 기록상 명확하다. 국제사회에도 확실하게 설명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런 사안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한·일 방위 당국 간의 협의는 계속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방위성은 일본어·영어 자막 영상을 지난달 28일 공개한 데 이어 이날 한글 자막을 담은 영상을 또 인터넷 홈페이지에 올렸다. 그러자 한국 국방부는 일본 측 주장을 반박하는 동영상에 중국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일본어, 아랍어 6개 국어 자막을 입힌 영상을 유튜브에 올리며 맞불을 놨다. 국방부는 일본 초계기가 확보했다는 사격통제 레이더 주파수 정보를 공개하라고 거듭 요구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해참총장 “어떤 해양 우발 상황에도 규정 따라 즉각 대응”
입력 2019-01-07 21:47 수정 2019-01-07 2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