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 수업이 끝난 뒤 초등학교에 마련된 별도 공간에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초등돌봄교실이 올해 1400여개 늘어난다. 지난해보다 2만명 많은 28만명이 올해 이 서비스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교육부는 이런 내용으로 7일 ‘신학기 초등돌봄교실 운영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이번 겨울방학 기간에 초등돌봄교실 1218개를 만들어 3월 새학기부터 운영하기로 했다. 석면 제거 공사 등으로 3월 시작이 어려운 일부 학교는 2학기 전후로 200여개 교실을 증설한다. 예산은 국고로 충당한다. 3월 확충 계획을 보면 서울이 301개로 가장 많고 경기도가 293개, 인천 167개, 대전 109개, 대구 89개 순이다. 돌봄 수요가 많은 서울 경기 인천에 62.5%가 집중됐다.
각 시·도교육청은 이와 별도로 돌봄 겸용교실 190개를 돌봄 전용교실로 바꾸고, 낡은 돌봄교실 1354개를 새로 단장하기로 했다. 환경 개선 작업은 모두 1620개 교실에서 이뤄진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생들이 머무는 것을 넘어 정서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창의적 감성적 공간으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돌봄교실 공간 디자인에 학생과 돌봄전담사, 교사 등을 참여시키기로 했다. 공간을 실제 이용하는 사람들로부터 색채나 공간 구성 등에 대해 의견을 듣고 반영할 계획이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학생 스스로 학교 공간을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참여와 협력을 배울 수 있다고 본다. 이런 ‘공간 혁신’을 교육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 이번 정책에 녹였다는 게 교육부의 설명이다.
교육부는 돌봄 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해 ‘신학기 초등돌봄교실 운영 점검 지원단’을 꾸려 지역별 시설 확충 등을 점검하기로 했다. 교육청 담당자가 참여하는 전담팀이 3월까지 민원담당관이 돼 상시 점검하고, 학교가 돌봄교실 신청자를 모두 수용하기 어려운 경우 지역아동센터, 청소년방과후 아카데미 등 마을 돌봄과 연계하기로 했다.
이런 방안을 통해 초등학교 1, 2학년 위주였던 돌봄을 모든 학년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맞벌이 가정 수요와 지역 여건 등을 고려해 오후 7시까지 연장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박백범 교육부 차관은 “초등돌봄 서비스를 늘리고 안정적으로 운영하려면 지역과의 연계가 중요하다. 관계부처와 지방자치단체 협력을 유도해 현장의 어려움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초등돌봄교실 올해 1400여개 늘어난다… 28만명 ‘혜택’
입력 2019-01-07 1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