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인사 담당 행정관이 장성 인사자료를 분실한 날 육군참모총장을 만난 사실이 뒤늦게 밝혀져 논란이 일고 있다. 청와대 인사수석실 정모 행정관은 2017년 9월 장성 후보자들의 인적사항이 담긴 가방을 들고 외출했다가 가방과 자료를 통째로 분실했다. 정 행정관은 이날 서울 국방부 인근 카페에서 김용우 육군참모총장과 회동한 것으로 드러났다. 육군은 그해 7월 후반기 장성 진급 가능 대상자 명단을 국방부에 넘겼고, 이들이 만난 9월에는 장성 인사 절차가 진행 중이었다. 정 행정관과 김 총장의 회동에 동석한 청와대 국가안보실 행정관인 심모 대령은 그해 12월 준장으로 진급했다. 청와대는 정 행정관을 의원면직했으나 별도의 징계 조치를 내리진 않았다.
분실 사고와 김 총장 회동 배경 등에 대한 청와대의 해명은 허술하고 옹색하기 짝이 없다. 처음부터 명쾌하게 전말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의혹이 불거지면 찔끔찔끔 해명하는 식이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지난 3일 “정 행정관이 개인적으로 만든 것”이라며 분실 자료의 군사기밀 가능성을 일축했다. 군 인사기밀을 참고하지 않고 어떻게 인사자료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인지 이해할 수 없다. 정 행정관과 김 총장의 회동 사실이 보도되자 김 대변인은 6일 “담당 행정관이 군 인사 업무를 맡은 지 얼마 되지 않아 군 사정에 밝지 않았다”면서 “참모총장이 인사 선발 시스템과 자신의 인사 철학을 설명했다”고 말했다. 이 설명대로라면 청와대는 군 인사 시스템도 모르는 문외한에게 담당 업무를 맡겼다는 것이 된다. 참으로 한심한 일이다. 논란이 커지자 김 대변인은 7일 정례브리핑에서 “인사수석이나 인사비서관이 만나는 게 예의에 맞다고 생각한다”면서도 “행정관이 참모총장을 못 만날 이유는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동안 청와대 행정관의 위세가 얼마나 대단했으면 육참총장이 행정관의 회동 요청을 받고 근무지인 충남 계룡대를 떠나 서울로 왔겠는가. 육군 관계자는 “김 총장이 서울에 일정이 있어 갔다가 잠깐 만났다”고 하지만 액면 그대로 믿기 어렵다. 청와대는 정 행정관과 김 총장의 회동 배경, 분실 자료 내용, 군 장성 인사 개입 의혹 등을 재조사해 국민에게 낱낱이 밝혀야 한다.
[사설] 靑 행정관과 육참총장 회동 의혹 낱낱이 밝혀야
입력 2019-01-08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