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극한 대치… 국민은행, 19년 만에 총파업 ‘초읽기’

입력 2019-01-06 19:19 수정 2019-01-06 21:29

KB국민은행의 총파업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성과급과 임금 인상, 인사제도 등을 놓고 노사는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노조는 7일 오후까지 타결이 이뤄지지 않으면 점포 영업을 마치고 파업 전야제를 가진 뒤 8일 하루 동안 1차 총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2000년 이후 19년 만의 파업이다.

파업을 해도 인터넷·모바일뱅킹, 현금자동입출금기(ATM) 등 비대면 서비스는 평소처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영업점 방문이 꼭 필요한 업무를 봐야 하는 고객은 불편할 수밖에 없다. 노조 측은 임금·단체협상(임단협) 타결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오는 3월 말까지 모두 5차례에 걸쳐 파업을 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6일 국민은행 노사에 따르면 양측은 주말에도 만나 쟁점 사안을 놓고 팽팽한 줄다리기를 했다. 노사는 지난해 임단협이 최종 결렬된 뒤 중앙노동위원회가 진행한 조정 절차에서도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노조가 총파업을 예고하자 김남일 영업그룹 대표(부행장) 등 경영진은 지난 3일 직원들 컴퓨터에 팝업 동영상을 띄우며 파업 자제를 호소했다. 4일에는 김 부행장 등 임원 54명이 “파업이 강행되면 영업 차질에 대한 책임을 지겠다”며 허인 행장에게 사직서를 냈다. 노조의 파업 강행 방침에 배수진을 친 것이다.

쟁점은 ‘성과급’과 ‘차별 철폐’로 요약된다. 노조 측은 경영성과급으로 기본급의 300%를 요구하고 있다. 지난해 3조원에 가까운 당기순이익을 거두며 ‘역대급 실적’을 낸 점을 고려하면 무리한 액수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사측은 “다른 은행들의 성과급 규모를 고려해 ‘200% 이상’ 지급하는 안을 노조에 제시하며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체 직급에 ‘페이밴드(Pay-Band)’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도 뜨거운 논쟁을 유발하고 있다. 페이밴드는 일정 기간 진급을 못하면 기본급을 동결하는 제도다. 2014년 신입 행원부터 적용됐다. 사측은 직급이 낮은데도 임금은 더 높은 ‘역전 현상’을 방지하고, 직원 간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페이밴드 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노조 측은 “최근 지점 축소 등으로 진급 적체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페이밴드 확대에 동의할 수 없다”고 항변한다. 여기에 ‘점심식사 시간 1시간 보장’과 ‘미지급 시간외근무수당 150% 지급’ ‘여직원 유니폼 폐지에 따른 피복비 100만원 지급’ 등도 쉽사리 접점을 찾지 못하는 중이다.

사측은 지역별 거점 점포를 운영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그러나 고객 불편을 줄이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임시 점포 운영 방안 등을 7일 고객에게 공지할 계획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총파업이 이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우선 목표”라고 강조했다.

노사가 파업 돌입 직전 극적 합의를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박홍배 국민은행 노조위원장은 “마지막까지 열린 자세로 논의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