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靑 이전 철회로 광화문 재구조화 사업 속도 더 빨라질 것”

입력 2019-01-06 21:35 수정 2019-01-06 21:40
지난해 4월 발표된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기본계획’의 조감도. 서울시 제공

정부가 대통령집무실을 서울 광화문으로 이전하려던 계획을 결국 거둬들였다. 청와대 이전이라는 중대 변수가 제거됨에 따라 서울시의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6일 “광화문광장을 확대·재편하는 사업은 청와대 이전을 전제로 한 게 아니기 때문에 예정대로 추진된다”면서 “오는 21일 국제설계공모 당선작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광장 확대, 보행로 연결, 역사성 복원 등을 이유로 2016년부터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을 추진해 왔다. 지난해 4월 발표된 서울시의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기본계획’에 따르면, 광화문광장은 세종문화회관 방향으로 확장해 현재보다 3.7배로 커진다. 광화문광장 양옆으로 나 있던 10차로의 세종대로는 미 대사관 방향 차로만 남겨 6차로로 축소한다. 또 광화문 앞을 지나가는 차도인 사직·율곡로를 없애고 우회로를 새로 만든다. 광화문 앞에는 월대를 복원하고 해태상도 본래 위치를 찾아 제자리에 돌려놓는다.

기본계획 발표 당시 서울시는 청와대의 광화문 이전 문제에 대해 “정부와 협의해 나가겠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밝혔다. 그러나 기본계획을 작성할 때부터 서울시와 정부는 긴밀하게 협의해 왔다. 특히 청와대 이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청와대가 광화문으로 옮겨온다고 하더라도 문제가 없도록 기본계획을 작성했다는 것이 서울시 설명이다. 서울시는 최근까지도 정부와 협의를 계속해 왔다.

진희선 서울시 행정2부시장은 “지난 4일 정부 발표로 청와대 이전 문제가 종료됐기 때문에 앞으로는 사업속도가 더 빨라질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청와대가 이전하기 않기로 했다고 해서 기본계획에서 달라지는 건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이 마무리된 후 청와대 이전을 다시 검토해 보겠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이전 문제를 담당해온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과 승효상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은 서울시의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에도 초기부터 참여했다. 이 때문에 정부에서도 서울시에 힘을 실어줄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 전 청장은 청와대 이전 보류를 밝히는 자리에서 “현재 서울시와 문화재청이 추진하는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의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은 2021년 5월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국제설계공모를 진행 중인데 오는 11일부터 공모작 접수를 받아 21일 당선작을 발표한다. 이후 연내 기본 및 실시설계를 완료하고, 연말 또는 내년 초에 공사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