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들 “ICT-행정 접목”… 서울, 민생범죄에 AI수사관 투입

입력 2019-01-06 21:52

지자체들이 4차 산업과 정보통신기술(ICT) 성과물을 행정에 접목시키는 데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주민편의와 행정의 효율을 높이자는 취지다.

서울시는 “올해부터 인공지능 수사관을 본격 활용해 인터넷 상의 잘못된 정보 확산과 금융범죄 등의 발생을 막기로 했다”고 6일 밝혔다. 지난해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도입한 인공지능 수사관은 온라인 콘텐츠 가운데 불법이 의심되는 내용을 실시간 수집·저장해 각종 범죄를 발본색원한다. 시는 불법대부, 다단계, 부동산 불법 거래, 상표권 침해 분야 수사에 이를 적용할 방침이다.

경기도 오산시는 지난달부터 빅데이터를 활용한 ‘나만의 추천도서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관내 주요 도서관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 이 서비스는 모바일을 기반으로 이용자들의 성별과 연령별, 지역별 정보를 분석해 주민이 읽을 만한 책을 추천해준다. 시는 기존 플라스틱 도서회원증 대신 휴대전화 전자회원카드 발급을 통해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전북도는 혁신도시의 고질적 악취민원 해소와 김제 축산농가·자원화시설의 악취를 개선하기 위해 ‘ICT축산악취모니터링시스템’을 설치하기로 했다. 축산시설 악취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암모니아와 온·습도, 환풍량 등을 30분 단위로 실시간 측정한다. 도는 악취가 사전 설정해놓은 농도를 넘어서면 24시간 연동 중인 악취저감 분사시설이 자동으로 작동돼 악취물질의 대기 확산을 차단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도는 시간대별 악취발생 특성과 각종 시설의 장·단점을 분석해 악취저감시설을 개선하는 기초자료로 삼을 계획이다.

인천시도 올해부터 모든 문서를 데이터화하는 등 데이터기반 행정혁신을 추진한다. 40억원을 들여 빅데이터 업무관리 시스템 개편과 인프라 확충에 나설 방침이다. 빅데이터 공유·활용 플랫폼도 개설해 필요할 때마다 각종 데이터를 다양한 현안사업에 활용하게 된다.

시는 이를 위해 데이터 관련 업무를 통합 기획·조정하는 데이터혁신담당관을 신설하는 등 조직개편에 착수했고 민간 전문가와 학계 등이 참여하는 ‘데이터기반 행정위원회’도 상반기 중 구성해 운영할 방침이다. 더 나아가 2020년까지 침수·지진·전염병·교통까지 4대 분야의 빅데이터 기반 문제예측·해결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시는 시민들의 행정수요를 발빠르게 파악해 각종 맞춤형 정책을 개발하는 데 데이터기반 행정혁신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광주시는 화순 너릿재와 송암공단 제2순환도로 진입로 등 겨울철 상습 결빙이 발생하는 경사도로에 ‘선진 제설시스템’을 도입한다. 적설량과 노면 결빙상태를 센서로 데이터로 수집해 컴퓨터와 스마트폰 등을 통해 원격으로 제설제를 살포하는 자동시스템이다. 시는 폭설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면 교통정체 등 시민들의 불편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을 결합한 가상 스마트시티가 세종시에서 운영되는 등 4차 산업혁명이 쓰나미처럼 밀려들고 있다”며 “각 지자체는 주민 안전과 공익을 위해 지역 특성을 감안한 4차 산업 특화정책을 선택해 집중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전국종합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