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비서진 개편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시기와 폭이 미정일 뿐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과 몇몇 수석비서관 교체가 기정사실화되는 분위기다. 임 비서실장 후임으로 특정인의 실명이 오르내리는 상황이다. 청와대 개편은 문재인 대통령 임기 3년 차를 맞아 분위기를 일신하고, 하락하는 지지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측면이 강하다.
청와대 개편 필요성은 지난해부터 제기돼 왔다. 경호처 직원 음주 폭행, 의전비서관 음주운전, 군 인사자료 분실 등 청와대 직원들의 도덕적 해이에 대한 비판 여론이 컸다. 여기에 김태우 전 특별감찰반원 폭로 사건은 청와대 개편을 더 이상 지체할 수 없게 만들었다. 김 전 특감반원 폭로의 진위 여부를 떠나 그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지휘·감독 책임은 면하기 어렵다. 자유한국당을 비롯한 야권이 집요하게 추궁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임 실장 교체를 계기로 김 전 특감반원 폭로를 둘러싼 정쟁이 잦아든다면 문 대통령으로선 청와대 인사 효과를 보는 셈이다.
문 대통령은 임기 3년 차 국정운영 방향을 경제살리기로 정했다. 2기 청와대 비서진 진용은 이런 콘셉트에 맞게 짜여져야 한다. 내 사람만 고집할 일이 아니다. 그 밥에 그 나물로는 시행착오를 줄이기도, 쇄신을 기대하기도 어렵다. 단순한 임무교대에 그쳐서는 안 된다는 얘기다. 인재 풀의 과감한 확대가 필요하고, 1기 청와대 비서진보다 다양성이 강화돼야 한다. 한쪽 눈으로 보는 것보다 양쪽 눈으로 보면 더 잘 보이는 법이다.
임종석 청와대는 국회, 특히 대야 소통이 부족했다는 평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본의는 아니었어도 야당과 대화하는 모습보다 대결하는 인상을 국민에게 심어준 게 사실이다. 임 실장 후임은 야당과 협치할 수 있는 포용성을 갖춘 인물이어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한 이유다. 아울러 청와대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야 한다. 청와대 비서실은 대통령을 보좌하는 곳이지 국정을 관장하는 기구가 아니다. 내각 중심으로 국정이 운영되도록 그림자 역할에 머물러야 제2의 신재민 사건 재발을 막을 수 있다.
인사는 보안이 생명이다. 인사설이 나돌기 시작하면 모든 관심이 그쪽으로 쏠리게 마련이다. 일이 손에 잡힐 리 없다.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도 개편은 빠를수록 좋다. 청와대에는 내년 총선에 출마하려는 인사들이 수두룩하다. 이번 기회에 이들도 한꺼번에 정리하는 게 바람직하다. 총선 출마용 경력 쌓기는 그만큼 했으면 됐다.
[사설] 경제살리기 기조에 걸맞은 청와대 개편이어야
입력 2019-01-07 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