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시무식 대신 경제살리기 대책보고회

입력 2019-01-03 21:17
허성무 경남 창원시장이 3일 신년 기자회견을 열고 올해 시정 운영 방향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창원시 제공

경남 창원시가 시무식 대신 ‘경제살리기 대책보고회’로 새해를 시작했다고 3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경제살리기 대책보고회에서는 신속집행, 일자리창출, 사업기간 단축, 공모사업, 투자유치 확대 등 4개 분야에서 175건의 대책이 제시됐다.

창원시는 먼저 예산 신속집행을 위해 전 부서가 추진하는 상반기 신속집행 목표액을 7929억원으로 잡았다. 지난해보다 1200억원이 늘어난 역대 최고 수준이다. 시의 재정집행은 소상공인부터 건설업체까지 지역경제 전 분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경제선순환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새해 일자리 목표를 2만7000개로 잡았던 시는 3370개의 일자리를 추가로 확보하기로 했다. 방산 분야 및 미래자동차 분야에서 일자리 983개를 늘린다. 공공일자리사업도 당초 예정된 상·하반기 1200명을 상반기에 집중하고, 하반기에는 추경을 통해 추가하기로 했다.

주요 사업의 추진기간도 단축하기로 했다. 제2안민터널은 2023년 준공예정이던 것을 2년 앞당겨 2021년에 준공한다. 올해 본격 착수하는 400억원 규모의 충무·구암지구 도시재생사업도 마스터플랜 수립과 부지매입을 조기에 추진한다.

허성무 창원시장은 3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올해 경제 전망이 밝지는 않지만 ‘창원경제 부흥의 원년’으로 만들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창원경제 뉴딜 2019 프로젝트’를 통해 2026년까지 창원지역 산단의 총 고용 인원 17만명, 생산액 100조원 달성을 목표로 수소, 방위, 항공, 로봇, ICT기계융합, 스마트산업단지, 소재산업의 6개 분야 132개 사업에 2조70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