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이 강원도 정선군 가리왕산 활강경기장의 복원 명령을 통보하자 강원도와 정선군이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산림청은 오는 31일까지 강원도가 전면복원 계획서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행정대집행에 나서겠다는 입장이지만 정선군 주민들은 곤돌라와 운영도로 존치 입장을 고수하며 대정부 투쟁을 예고했다.
산림청은 지난해 평창동계올림픽 당시 강원도에 사용을 허가했던 정선군 북평면 일대 국유림의 전면복원 명령을 통보했다고 3일 밝혔다. 2014년 5월 시작된 이 지역의 사용허가 기간은 지난달 31일부로 만료됐다.
가리왕산 일대는 특별법인 ‘평창올림픽법’에 따라 올림픽 기간 스키 활강경기장으로 사용됐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올림픽 종료 이후 전체 시설을 철거하고 원래의 산림으로 복원될 예정이었지만 강원도는 새로운 산림 활용 모델을 찾자며 곤돌라와 운영도로의 존치를 요구해왔다.
산림청의 전면복원 명령에 따라 강원도는 이달 안으로 가리왕산 활강스키장 복원계획서를 국유림 사용허가 기관인 정선국유림관리소에 제출해야 한다. 만일 31일까지 강원도가 전면복원 이행 의사를 표명하지 않는다면 산림청은 행정대집행을 예고하고 행정절차에 돌입할 계획이다. 약 800억원으로 추산되는 복원 소요 예산은 향후 강원도를 대상으로 구상권을 청구한다.
권장현 산림청 산림환경보호과장은 “가리왕산 활강경기장은 올림픽 이후 산림복원을 전제로 만들어진 시설”이라며 “강원도지사는 사회적 약속이자 법적 의무사항인 전면복원 이행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림청은 지역주민들을 설득하기 위해 지자체, 지역단체 등이 참여하는 ‘정선지역 상생·발전 민관 협의회(가칭)’도 구성할 예정이다.
그러나 강원도와 정선군은 전면복원보다는 곤돌라와 도로 등 일부를 존치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물러서지 않고 있다. 강원도 관계자는 “경기장의 모든 시설을 존치하겠다는 게 아니라 곤돌라와 운영도로만 남겨두고 나머지를 복원하겠다는 것”이라며 “곤돌라는 추후 경기장을 원상복원한 뒤 복원성과를 보여줄 수 있는 탐방시설물로 활용하겠다. 도로 역시 최소한의 부분만을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정선군의회 등 정선지역 158개 주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정선알파인경기장철거반대범군민투쟁위원회도 존치 입장에 변함이 없다. 투쟁위는 오는 11일 발대식을 시작으로 대규모 상경투쟁, 서명운동 등 대정부 투쟁에 나설 계획이다.
유재철 투쟁위원장(정선군의회 의장)은 “곤돌라·운용도로를 유산으로 존치하자는 입장은 확고하다”며 “산림청이 강제집행에 나설 경우 정선군민들은 이를 물리적으로 막겠다”고 말했다. 이어 “산림청이 제안한 상생협의회 참여는 투쟁위 회의를 통해서 결정하겠다”고 덧붙였다.
최승준 정선군수도 “곤돌라와 도로를 존치해달라는 정선군민들의 입장은 여전하다”며 “곤돌라와 도로는 올림픽 유산으로 남겨야 한다”고 말했다.
대전·정선=전희진 서승진 기자 heejin@kmib.co.kr
가리왕산 원형 복원 명령에… 주민들 “곤돌라·도로 존치” 반발
입력 2019-01-03 2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