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특별감찰반 논란’ 수사에 착수한 검찰은 31일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이 출석한 국회 운영위원회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검찰은 관련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동부지검에 인력을 보강하는 등 수사 확대에 대비하면서도 전 특감반원인 김태우 검찰 수사관 소환시기 등과 관련해서는 운영위 이후 상황을 좀 더 지켜보겠다는 분위기다.
청와대가 김 수사관을 공무상 비밀누설 혐의로 고발한 사건을 수사 중인 수원지검은 최근 고발대리인 조사를 마치고 김 수사관의 이메일 등을 확보해 분석 중이다. 본격적인 수사 준비를 갖춘 수원지검은 김 수사관 소환시기 등과 관련해 상황을 지켜보겠단 입장이다. 수원지검 관계자는 이날 “(운영위에서) 어떤 이야기가 나오는지에 따라 (수사에) 중요할 수 있다”며 “참고하기 위해 지켜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를 전격 압수수색하며 수사에 속도를 내 오던 서울 동부지검도 비슷한 분위기다. 동부지검 관계자는 주요 참고인인 김 수사관을 비롯해 청와대 관계자들 소환시기 등에 대해 “운영위원회 이후로 사건이 어떻게 전개될지 예상되지 않는 상황”이라며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동부지검 형사6부(부장검사 주진우)는 자유한국당이 청와대 특별감찰반의 민간인 불법 사찰 의혹을 문제 삼아 조국 수석 등 청와대 관계자 4명을 직권남용·직무유기 혐의로 고발한 사건을 전담 수사하고 있다. ‘환경부 블랙리스트 문건 의혹’ 관련 고발 사건도 동부지검에 배당된 상태다. 동부지검은 이날 대검에서 검사 1명을 지원받아 수사팀을 보강했다. 두 사건을 전담한 상황에서 필요 인력을 충원한 것이라는 게 검찰 설명이지만 이후 수사 확대를 대비하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검찰이 운영위 이후 상황에 관심을 두는 것은 현 정부를 향한 의혹 제기가 추가로 이어지는 상황과도 무관하지 않다. 한국당에서는 이미 고발장을 접수한 환경부 산하기관 사찰 문건 의혹에 이어 국토부 사찰 문건 등을 잇달아 제시하며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직 기재부 사무관이 유튜브를 통해 폭로한 청와대의 KT&G 사장 교체 개입 의혹 등은 또 다른 논란을 키우고 있다.
안대용 기자 dandy@kmib.co.kr
‘靑 특감반 논란’ 수사 檢, 운영위 상황 촉각
입력 2018-12-31 19:34 수정 2018-12-31 2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