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에서 사무관으로 일했던 예비 학원 강사가 “청와대에서 KT&G 사장을 바꾸라 지시했다”고 공개해 파문이 일고 있다. 청와대가 민간기업인 KT&G의 사장을 바꾸기 위해 2대 주주인 기업은행을 동원해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게 요지다. 기재부는 즉각 “사실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기재부는 불법적으로 문서가 유출된 사실이 있는지 조사한 뒤 엄정 대처한다는 입장이다.
신재민 전 기재부 사무관은 지난 29일 유튜브에 ‘뭐? 문재인정권 청와대가 민간기업 사장을 바꾸려 했다고?!’라는 제목의 동영상을 올렸다. 신씨는 동영상에서 “지난 5월 정부가 KT&G 사장을 바꾸려 한다는 문건을 입수했다는 MBC 보도가 있었는데 그 문건을 제보한 사람이 나”라고 주장했다. 이어 “다른 일로 서울에 있는 차관 집무실로 보고를 하러 갔다가 부속실에서 문건을 발견했다. 문건에는 ‘대외주의, 차관 보고’라고 적혀 있었다”고 덧붙였다.
신씨는 “당시 청와대에서 KT&G 사장을 바꾸라고 지시를 내렸다. 그래서 기재부는 2대 주주인 기업은행에 KT&G 주주총회에서 ‘연임을 반대한다’는 목소리를 내게 했다”고 말했다. 올해 3월 주주총회에서 기업은행은 백복인 KT&G 사장의 연임에 반대했지만 표 대결 끝에 연임이 가결됐었다.
또 신씨는 “문재인정부가 민간기업에 개입하지 않는다고 했지만 민영기업 관리 강화 방안을 모색해보라는 지시도 직접 들었다. 서울신문 사장을 교체하려고 시도한 적도 있었다”고 말했다. 행정고시 57회인 신씨는 2014년부터 기재부에서 외국인 채권투자 관리, 국고금 관리, 국유재산 관리 업무를 담당했다. 지난 7월 사직했다.
기재부는 반박 자료를 내고 KT&G 동향 보고 자료는 담배사업법상 정상적 업무처리 과정에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것일 뿐 사장 인사에 영향을 미치려는 의도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기재부는 당시 문서를 외부로 유출한 행위에 불법 요소가 있는지 판단해 대처할 방침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문서 유출 논란 당시 신씨는 KT&G 담당과도 아니었다. 행정고시 강사를 하겠다며 사직한 후 연락을 끊었는데 갑자기 이런 주장을 해 당황스럽다”고 말했다.
세종=전성필 기자 feel@kmib.co.kr
“靑, KT&G 사장 교체 지시” 기재부 前 사무관 폭로
입력 2018-12-30 2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