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낸 친서 내용을 전격 공개했다. 하지만 친서에서 남북 관계와 김 위원장의 답방 의지에 관한 부분 외 내용은 전혀 공개하지 않아 미공개 내용이 무엇인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각에서는 내년 초 다시 시작될 북·미 대화 등 국제정세에 관한 김 위원장의 입장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30일 김 위원장이 친서에서 서울 답방과 관련해 ‘앞으로 상황을 주시하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이는 조만간 재개될 북·미 협상에 따라 자신의 답방 시기를 결정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한 정부 소식통은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은 미국과의 협상 결과에 달려 있다”며 “남측은 물론 미국을 향한 메시지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청와대도 친서에 비핵화 협상 및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관련 언급이 담겼을 가능성을 열어뒀다. 김 대변인은 ‘비핵화 협상이나 북·미 정상회담 관련 언급이 있었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구체적인 친서 내용을 말씀드리기 어렵다”고만 답했다. 긍정도 부정도 안한 것이다.
그러나 친서에 대미(對美) 메시지가 담겼다 해도 비핵화 협상과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이 담기지는 않았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현재 북한은 미국의 연이은 유화적 메시지에 공식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있다. 김 위원장의 신년사를 통해 대미 메시지를 압축적이고 직접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는데, 이런 상황에서 미국에도 바로 공유될 친서 내용에 미리 카드를 내보이지는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한 국책연구소 관계자는 “남북 정상이 비핵화에 대해 ‘협의’하겠다고 밝힌 만큼 비핵화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 정도를 피력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통일안보센터장도 “지금 북한은 중요한 대미 메시지를 우리를 통해 전달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대미 협상과 관련해 문 대통령에게 우회적인 협조 요청을 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남북 정상은 6·12 북·미 정상회담이 무산 위기에 처했던 지난 5월 판문점에서 전격 회동해 북·미 대화의 불씨를 살린 경험이 있다.
일각에서는 친서 내용 중에 가장 중요한 게 서울 답방 메시지인 만큼 답방에 대한 구체적인 일정이 담긴 게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한번 무산된 답방이라 적어도 확실한 날짜까지는 아니어도, 설 명절 전후 또는 특정 월(月)을 거론하며 답방하겠다는 뜻을 밝혔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靑 “공개 어렵다” 말한 김정은 친서 내용 뭘까
입력 2018-12-30 19:25 수정 2018-12-30 2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