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낸 친서에서 확고한 서울 답방 의지를 밝힘에 따라 방남 시점이 당겨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2차 북·미 정상회담과 연계돼 방남 시기가 결정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지만, 북·미 협상이 여의치 않을 경우 미국의 사정과 상관없이 남북이 자체적으로 답방을 진행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30일 “친서 내용이 긍정적이라 김 위원장 답방 시기가 좀 더 빨라질 것”이라며 “북측과 협의해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방남이 가능하도록 준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지난 9월 평양 정상회담 이후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을 위해 북·미 양측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왔다. 회담 직후 북·미 협상이 재개되면서 김 위원장의 연내 서울 방문도 한때 가시권에 들어왔다. 문 대통령이 지난 1일 기내 간담회에서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언급하면서 답방 기대감이 더욱 확산됐다.
그러나 보름여 만인 이달 중순 청와대는 김 위원장의 연내 서울 답방이 사실상 무산됐다고 밝혔다. 답방 준비 마지노선이었던 지난 10일까지 북한에서 답이 오지 않자 내부 기조를 바꾼 것이다. 이즈음 북한도 실무라인을 통해 연내 답방이 어렵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김 위원장의 서울 방문은 여러 가지 상황이 고려돼야 하는 만큼 서두르거나 재촉할 의사를 가지고 있지 않다”며 한발 물러섰다.
내년 초 예정된 2차 북·미 정상회담에 앞서 서울에서 남북 정상회담을 하고 비핵화 협상을 견인하겠다는 청와대 구상도 전환점을 맞았다. 청와대는 김 위원장의 서울 방문 시기가 북·미 회담 이후로 넘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이날 김 위원장이 서울 방문 의지를 재확인한 친서를 보내면서 상황이 일순 바뀌었다. 답방을 포함한 남북 정상 외교 시간표가 다시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김 위원장 답방이 2차 북·미 정상회담 시기와 관계없이 남북 간 결단으로 성사될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북·미 회담과 답방 중) 어떤 게 먼저 열려도 남북 관계 발전과 북·미 협상 진전에 도움을 줄 것”이라며 “순서는 상관없다. 그 점에 있어서는 미국도 우리와 같은 입장”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김 위원장 답방과 북·미 회담의 선후 관계가 미칠 영향을 두고 다양한 전략적 고려를 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만약 북·미 회담 전에 답방이 이뤄진다면 경색된 북·미 관계를 중재하는 기점이 됐던 5·26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과 비슷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청와대는 김 위원장의 조기 답방 가능성에 맞춰 물밑에서 숙소와 동선, 의전 등을 점검한다는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과 논의가 끝나는 대로 동선과 경호 문제를 고려해 김 위원장 숙소의 다양한 후보군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靑 “친서 내용 긍정적… 서울 답방 좀 더 빨라질 것”
입력 2018-12-30 19:08 수정 2018-12-30 2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