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은 노현석(사진) 연세대 환경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익산(oleic acid)으로부터 기존 경유와 같은 분자 구조를 갖춘 바이오디젤을 생산할 수 있는 촉매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합성하지 않으면 식용 등 다른 용도로 쓰기 어려운 기름 물질을 화석연료인 디젤(경유)로 바꾸는 기술이다.
바이오디젤은 식물성 기름을 원료로 만드는 차세대 친환경 연료다. 기존 바이오디젤은 낮은 발열량, 열적 불안정성, 높은 점성 등 문제로 상용화가 어려웠다. 이번에 개발된 바이오디젤은 발열량이 일반 경유의 99.4%다. 현재 사용되는 디젤과 비교해도 별 차이가 없다.
노 교수는 “경유 사용이 줄더라도 비행기, 대형 화물차, 군용 차량에선 쓸 수밖에 없는 걸 고려하면 바이오디젤은 경유를 대체할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말했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
못먹는 기름을 ‘바이오디젤’로 바꾸는 기술 개발
입력 2018-12-30 20:23